춘절에 이은 또 다른 큰 명절, ‘원소절(元宵节)’
춘절에 이어 정월대보름이 다가오고 있으니 풍족한 명절의 기분 좋은 연속이다. 정월대보름에서 ‘정월’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고 새로이 시작하는 달이다. ‘대보름’의 달빛은 어둠과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밝음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 다 같이 한 해 풍년을 기원하며 여러 행사를 지냈다.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는 속담이 있듯이 한국에서 정월대보름은 마을 사람들이 함께 지내는 큰 명절이었다.
이와 같이 정월대보름은 중국에서도 큰 명절로 여겨지는데, 원소절(元宵节) 또는 덩제(灯节)라고도 불리며 음력 1월 15일에 해당한다. 한국에서 정월대보름에 오곡밥 먹기와 부럼 등의 풍속을 가지고 있듯이 중국에서도 정월대보름에 행하는 풍속들이 있다. 위엔샤오(汤圆, 탕위엔)를 먹고 등롱을 걸어 구경하기 등 여러 대표 풍속들을 알아보자.
위엔샤오(汤圆, 탕위엔) 먹기
위엔샤오는 모양이 팥죽에 넣어 먹는 찹쌀떡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겉은 찹쌀을 이용해서 동그랗게 빚어도 그 속 맛은 흰설탕, 흑임자, 콩 등으로 만든 소를 넣는 등 제각기 다르다. 요즘에는 안에 딸기, 초콜렛 등을 넣은 새로운 제품들이 등장했다.
이를 끓여서 국으로 먹기도 하고 튀겨서 튀김으로 해 먹기도 하는 등 위엔샤오를 먹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 위엔샤오의 동글동글한 모양(团圆)이 ‘온 자리에 모이다, 온 가족이 단란하게 지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한 해가 무사히 잘 지나가길 바라는 의미에서 다들 큰 소망을 가지고 먹는 음식이자 원소절의 대표적인 세시 풍속이다.
등불 구경하기
원소절이 다가오면 거리, 공원, 사찰 등 전국 각지에 각양각색의 화려한 등(燈) 이 거리를 장식한다. 이날 저녁 사람들은 삼삼오오 짝을 지어 거리에서 등불을 감상하고 폭죽을 터뜨린다.
‘주마등(走马灯, 사물이 덧없이 빨리 돌아감)’이라는 흔히들 알고 있는 단어의 어원도 여기서 등장한다. 주마등은 원소절 등 축제 때 등장하는 여러 등 중 하나로 등 위에 둥근 원반을 올려놓고 원반의 가장자리를 따라 말이 달리는 그림을 붙여 늘어뜨린 것이다. 이는 마치 영화의 필름처럼 연속동작의 그림을 붙여 놓은 것이다. 그 밑에서 촛불로 빛을 밝히게 되면 등 내부에서 공기가 회전하며 원반을 돌게 한다. 빛의 밝기에 따라 회전속도도 빨라진다.
이렇게 원반이 돌아가게 되면 연결해둔 그림이 실제 영화를 보는 것과 같이 보여진다. 말이 질주하는 모습이 연속동작으로 보이게 된다. 그것이 주마등이다. 주마등이 빨리 돌아가는 것을 보고 이 용어를 세월의 빠름이나 어떤 사물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것을 나타낼 때 쓰기도 한다.
이 외에도 원소절은 또 하루의 발렌타인데이 혹은 낭만의 명절이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원소절의등불 축제는 만남의 기회가 되어 화려한 등불 아래서 남녀가 눈이 맞기 때문이라고 한다.
▷김강아 인턴기자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