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코트라] 중국 보건식품 시장규모 70조 원 넘어서

[2017-05-23, 09:35:39]

- 소득 증가, 노령화 추세로 시장규모 빠르게 성장 -


- 관련 법률·법규에 따라 시장진입을 위한 철저한 준비 필요 -

 


□ 시장 현황


  ㅇ 중국 소비자의 소득 증가와 빠른 노령화 진행으로 보건식품 시장규모가 급속히 확대되는 가운데 2015년 말 기준으로 70조 원(4500억 위안) 이상으로 성장
    - '중국 식품 및 영양발전 강령(2014~2020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국민의 영양 섭취량을 높이도록 적극 추진할 계획이며, 보건식품과 영양 강화식품을 중점 발전산업으로 육성할 계획


  ㅇ 중국 내 보건식품 유통현황을 살펴보면, 2016년 6월 말 기준으로 중국 국가식품약품 감독관리국이 승인한 보건식품은 1만6573개에 달하며, 이 중 중국산 1만5822개, 수입산 751개의 분포를 보임.
     - 제품 특성별로 살펴보면 중국 보건식품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품 중 기능성 제품은 65%, 영양보충제는 35%의 비중을 차지


  ㅇ 보건식품에 대한 관리감독의 부족으로 인해 중국의 각지에서 보건식품의 위법행위가 범람하고 있음.
     - 예를 들어, 상하이 질량기술감독국은 2015년 하반기에 70회의 보건식품 제품의 포장에 대해 감독 추출검사를 진행한 결과, 그 중 25회의 불합격 결과가 나타남.


  ㅇ 중국 시장 내 허위 및 과대광고 만연으로 가운데 보건식품 브랜드에 대한 불신이 팽배
    - 중국 소비자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보건식품의 고발 건은 전년대비 20% 하락한 2389건에 달함.

 

external_image.

자료원: yigoonet.com


□ 주요 타깃 소비계층


  ㅇ 제품 특성상 보건식품의 주요 소비층은 노령층으로 노령화 진행에 따라 노령계층의 소비 비중이 더욱 확대될 전망
    - '2015년 사회 서비스 발전 통계 공보'에 따르면 2015년 말까지 중국의 60세 이상 노령인구는 2억22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16.1%를 차지한다고 함. 2050년 4억 명을 넘어설 전망
     - 2014~2050년 기간 중국의 노령 소비시장은 4조 위안에서 106조 억 위안으로 성장이 전망되는 가운데 보건과 의료 관련 소비시장의 증가세가 가장 클 것으로 기대


  ㅇ 뷰티산업의 형성과 함께 도시 거주 여성이 보건식품의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성장
    - 미용, 다이어트, 보혈, 디톡스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여성 보건식품이 새로운 유망시장으로 부상
    - 淘宝와 第一财经商业数据中心가 공동으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2세에서 50세 사이의 여성이 보건식품 판매액의 60%를 차지하고 18세에서 28세 사이의 젊은 여성층 소비가 점차 늘고 있음.


  ㅇ 한편, 현재까지는 주로 도시중심으로 소비층이 형성돼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농촌으로 보건식품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 많은 노령인구의 분포와 도농 간 소득격차 감소는 농촌시장의 발전잠재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 경쟁 현황


  ㅇ 국가 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이 발표한 '2014년 식약품감독관리 통계년보'에 따르면 2014년 말 기준 2587개의 보건식품 생산기업이 분포하고 있으나 집중도가 비교적 낮아 투자액이 1억 위안을 넘는 대기업은 2%에 그침.


  ㅇ 중국 보건식품의 주요 생산지역을 살펴보면 베이징, 광둥성, 산둥성, 상하이, 장쑤성, 저장성 등 6개 성시에 전체 보건식품 기업의  절반을 차지
    - 반면, 신장웨이우얼, 닝샤후이족 자치구, 시짱 자치구, 칭하이 등 서부지역은 중국의약(中药) 자원이 풍부하나 보건식품 기업은 수십 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ㅇ 중국 보건식품시장의 높은 잠재력으로 기존 의약품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개발 능력을 활용해 보건식품 영역으로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 특징
    - 기존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빠르게 진입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음.

 

external_image

자료원: m.39yst.com


  ㅇ 다국적 기업은 막대한 자금력,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 능력을 기반으로 중국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고 있으나 중국의 전통적인 보양문화 등의 요인은 시장확대의 장애요인으로 작용
    - 글로벌 보건식품 기업인 Amway(安利) 뿐만 아니라 AVON(雅芳)도 2008년 중국 상무부의 비준을 통해 보건식품을 직판(直销) 경영범위에 포함시킴.
     - P&G(宝洁), Johnson&Johnson(强生), Herbalife(康宝莱) 등 일반 생활용품 기업 뿐만 아니라 Pfizer(辉瑞制药)와 GSK(葛兰素史克) 등 제약기업도 앞다투어 중국 보건식품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음.
     - 전통 보건식품시장에서는 완지(万基), INFINITUS(无限极), 캉푸라이(康富来), DEEJ(东阿阿胶) 등 기업이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기능성 보건식품시장에서는 上海交大昂立가 주요 공급상 중 하나로 자리매김.


  ㅇ 중국 보건시장은 심사허가제도를 실시하고 있어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관련 기관의 심사통과가 필수적임.
     - '중국인민공화국 식품안전법'은 2015년 10월 1일부터 실시되는 가운데 보건식품과 관련되는 조항은 총 13개에 달함.
     - 보건식품의 시장진입을 위한 허가 관리, 생산 관리, 시장 감독, 광고 관리, 위법 처벌에 관련 규정을 포함하고 있음.


□ 유통 경로


  ㅇ 중국 내 보건식품 유통채널은 직판, 회의판매, 전통판매, 체인점 판매, 전자상거래, 학술마케팅 및 기타 판매방식 등이 있으며 직판과 회의판매 방식이 다수를 차지


  ㅇ 2005년 '직판관리조례'가 실시됨에 따라 보건식품의 직판은 합법적인 유통경로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유통원가 절감으로 높은 경쟁력을 확보


  ㅇ 회의 판매는 DB 판매라고도 불리는데, 기업이 각종 경로를 통해 수집한 소비자의 정보를 분석 및 정리해 목표 소비자를 대상으로 맞춤식 타깃 마케팅을 진행


  ㅇ 전통판매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판매경로를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보양품 및 선물류는 백화점에서 판매하고 명절을 중점으로 판촉행사를 진행하며, 치료효능이 있는 제품은 약국을 판매장소로 정해 전문적인 광고와 홍보로 적합한 계절에 판촉행사를 진행
 
   ㅇ 보건식품 체인점의 출현은 보건식품이 약품과 식품에서 세분화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보건식품의 판매경로 전문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ㅇ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TV와 인터넷 등 미디어가 보건식품의 새로운 채널로 자리매김 중
    - 전통적인 마케팅 채널에서 TV 홈쇼핑, 인터넷 등 새로운 채널이 넓은 전파력과 원가 경쟁력을 무기로 주요 마케팅 채널로 부상


  ㅇ 학술 판매는 목표 소비자의 수요나 잠재수요를 타깃으로 의학 및 보건 관련 지식전파를 통해 소비자의 수요를 일으키는 형식임.
     - 특정 소비자 계층을 대상으로 건강강좌 개최 또는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형태로 진행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식품대리망


□ 시사점


  ㅇ 중국 내 보건식품 관련 관리감독이 강화되고 있으므로 관련 법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철저한 시장 준비가 필요
    - 중국에서 보건식품을 생산하려면 반드시 소재지 성급의 위생행정부분에 신청을 하고 위생하가증 취득 후 생산을 시작할 수 있음.
     - 보건식품을 수입할 때는 국가식약품 관리감독국의 수입 보건식품 비준 증서를 받아야 정상적인 유통이 가능
    - 2016년 7월 1일부터 시행되는 '보건식품 등록과 준비 관리방법'에 따르면, 보건식품 원료목록 외의 원료를 사용하거나 처음 수입하는 보건식품(비타민 보충제, 광물질 등 영양물질의 보건식품은 제외)은 반드시 제품 등록 및 심사기관의 현장검사를 받아야 함. 원료 목록에 포함된 원료를 사용하는 제품과 처음 수입하는 보건식품 중 비타민 보충제, 광물질 등 보건식품은 사전등록 절차를 거쳐야 함.


  ㅇ 전자상거래 등 새로운 유통마케팅 채널을 적극 활용하되 과장 및 허위광고로 인한 법규 위반 행위에 유의
    - '보건식품 광고심사 임시규정'에 따르면 보건식품의 광고 내용은 국무원 식약품감독관리기관에서 비준한 설명서 및 라벨내용과 일치해야 하며 임의로 범위를 확대해서는 안된다고 규정
    - 보건식품의 광고는 소재지의 성급 식품약품관리감독관리부서에 사전에 제출해야 하며, 기타 보건기기 및 약품과 효과를 비교하거나 미신을 이용한 홍보행위를 금하고 있음.

 

자료원: 홍콩 무역발전국, 중국 산업통찰망, 중국 보고대청, yigoonet.com, m.39yst.com, 중국 식품대리망 및 KOTRA 선전 무역관 자료 종합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上海 허촨루역 출근길 칼부림…3명 부..
  2. 상하이, 내일부터 장마 시작…올해 강..
  3. 순환 열차로 떠나는 장삼각 여행지
  4.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5.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6. 샤오미 전기차 판매량 ‘뚝’…신세력..
  7.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8. 中 2023 대졸생 평균 월급 115..
  9. 中 70개 도시 5월 부동산 가격 공..
  10.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경제

  1. 상하이, 내일부터 장마 시작…올해 강..
  2. 샤오미 전기차 판매량 ‘뚝’…신세력..
  3. 中 2023 대졸생 평균 월급 115..
  4. 中 70개 도시 5월 부동산 가격 공..
  5. 알리페이, 콘텐츠 이용자 8배 급증…..
  6. 미국 상장 중국 온라인 교육 앱 51..
  7. 테슬라, 중국 내 완전자율주행 출시..
  8. 中 5월 신에너지차 침투율 47%…내..
  9. 업계 경쟁 심화에 CATL 주6 13..
  10. 샤오미, CATL과 손잡고 배터리 공..

사회

  1. 上海 허촨루역 출근길 칼부림…3명 부..
  2.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3.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4.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5. 벌써? 中 작년보다 40도 넘는 속도..
  6. 中 딥페이크로 학생·동료 나체사진 7..
  7. 상하이 宜山路역 ‘찜통’ 환승통로 무..
  8. 中 청두, 지하철 공사 중 12미터..
  9. 중국 31개 省市 중 11곳 상주인구..

문화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책읽는 상하이 242] 나인
  3. ‘상하이 호반 국제 뮤직 페스티벌’..

오피니언

  1.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2.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3.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4.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5. [무역협회] 인도의 중국 '디커플링'..
  6. 2024 화동조선족주말학교 낭송·낭독..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