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코트라] 中 근대 공업의 상징, 톈진에서 비상하는 항공우주산업

[2017-09-20, 11:28:47]

- 톈진 항공우주산업, 정부정책, 글로벌 기업 진출 등으로 빠른 산업 성장률 보여 - 
- 막대한 중국 시장잠재력 겨냥한 중장기적인 진출전략 모색할 때 -


 
□ 톈진(天津) 개요    


  ㅇ 북방교통의 요충지,  톈진
  
    - 중국의 4대 직할시 중 하나로 화북평원(华北平原) 동북쪽에 위치한 도시   
    - 톈진항(天津港)은 세계 180여 개국 500여 개 항만과 연결된 북방 최대 규모의 종합성 무역 항구   
    - 수도 베이징까지 고속열차로 35분 내에 도착하며 랴오닝성, 허베이성 등 북방 주요 지역까지 2시간 내에 도착 가능    
    - 톈진빈해국제공항을 포함한 톈진 소재 공항은 총 4곳으로, 육해공 운송 모두 가능한 요충지
    

 

징진지 신 수도 경제권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톈진 무역관 제작
   
  
  ㅇ 주요 경제지표로 보는 톈진
  
    - 2016년 톈진시 GDP 총액은 1조7885억 위안으로 동기대비 9% 성장   
    - 2017년 상반기 톈진의 GDP는 9386억8700만 위안으로 동기대비 6.9% 성장   
    - 2017년 상반기 톈진 일정 규모 이상의 공업 부가가치는 5.6% 상승했으며, 주요 산업 39개 중 30개가 성장세 보임.   
    - 2016년 기준 우리나라의 대중국 무역액 순위 중 톈진이 광둥성, 장쑤성 등에 이어 5위 차지(무역액 기준, 120억 달러)
  
□ 톈진의 항공우주산업 현황
   
  ㅇ 2017년 상반기 톈진 수입 품목 1위, 비행기
  
    - 톈진 세관에 의하면 2017년 상반기 톈진 수입품목 1위는 비행기로 동기대비 28.3% 상승함. 수입의 13%를 차지하며 전국 비행기 수입의 47.3% 차지
  
    · 2위는 자동차, 3위는 철광석
  
    - 톈진의 8대 주요 산업: △ 항공우주 △ 장비제조 △ 정보기술 △ 바이오 제약 △ 신에너지 △ 섬유 및 경공업 △ 국방 과학기술 △ 석유·화학공업
  
    - 2015년부터 톈진은 '스마트 제조 중대 과학기술 특별항목(智能制造重大科技 专项)'의 실행을 위해 지금까지 총 68개의 대규모 프로젝트, 20개의 과학기술 스타트업 육성 프로젝트 등을 진행
  
    - 2017년 1~5월 톈진의 항공우주, 자동차 및 신에너지 등 10대 산업의 성장률은 14.3%, 톈진 공업의 80.3% 차지
  
    · 10대 산업: △ 항공우주 △ 장비제조 △ 정보기술 △ 바이오 제약 △ 신에너지 △ 섬유 및 경공업 △ 국방 과학기술 △ 석유·화학공업 △ 자동차 △ 첨단장비 
   
  ㅇ 2016년 가장 빠른 산업 성장률을 보인 항공우주산업
  
    - 톈진의 항공우주산업은 지난해 모든 산업들 중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임.
  
    - 2016년 1~10월 항공우주산업 가치는 453억9000만 위안을 돌파하면서 동기 대비 23.99% 성장함. 이는 성장률 2위인 바이오 의약산업보다 9.4%p 높은 수치
  
    - 지난해 톈진공업및정보화위원회는 2020년까지 톈진 항공우주산업의 규모가 1700억 위안에 달하는 국제적 영향력을 지닌 산업기지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발표
  


ㅇ 징진지(京津冀) 중심으로 '민간항공' 핵심구 형성
  
    - 2014년 12월 징진지를 민항 중심구역으로 발전시키고자 중국 민간항공국은 '징진지 민항 협동발전에 관한 의견(民航局关于推进京津冀民航协同发展的意见)'을 공표했으며, 이를 계기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기 시작
  
    - 2017 중국 민항발전세미나(2017中国民航发展论坛)에서 징진지, 장강삼각주(长江三角洲), 주강삼각주(珠江三角洲) 세 구역을 글로벌 공항 핵심구역으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언급
  
    - 현재 징진지 지역에 총 8개의 민항공항이 있음(베이징 2, 톈진 1, 허베이성 5). 계획 중이거나 공사 중인 공항은 총 11곳으로 알려짐.
  
    - 2016년 톈진 공항 유동인구는 1687만 명으로 전국 22위, 화물 물동량은 13만 톤으로 전국 13위 차지. 각각 동기대비 17.87%, 6.8% 상승
  
     - 특히 지난해 허베이성 공항 유동인구가 동기대비 20.54% 성장하면서 큰 잠재력을 보임.
  

  중국 고정익항공기 지역 분포 현황

external_image

                                                                           자료원: Sohu(搜狐)
   
- 2017년 상반기 기준 징진지 지역을 포함한 화북지역(华北)이 가장 많은 수의 고정익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음. 화북, 화동(华东), 중남지역(中南)의 항공기 보유량은 총 규모의 59% 차지
  
    * 고정익 항공기: 동체에 날개가 고정돼 있는 항공기. 회전익 항공기를 제외한 전 항공기
  
□ 톈진 주요 항공우주산업 기업 현황
   
  ㅇ 톈진 내 진출 글로벌 기업으로는 에어버스(프랑스)와 보잉(미국)이 있으며 모두 최종조립 공정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 또한 주요 부품 소싱은 자국을 포함한 중국 외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 톈진의 주요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ㅇ 톈진에 2개의 항공 전문 산업 단지 외 다수 주요 산업단지 내 광범위하게 항공 관련 기업들이 포진돼 있음.
     
 

 


 
  ㅇ (참고) 이 외
    
    - 중국 화북 및 서북지역 유일한 북방에서 가장 큰 규모의 보세구인 톈진항 보세구(天津港保税区)에 2015년 기준 60여 개 국내외 항공기 제조기업과 120여 개의 항공서비스 기업 정착
  
    - 2016년 8월 기준 동쟝 보세구(东疆保税区)에 입주한 임대기업 1949개 중 항공기 임대기업*이 920개 차지하면서, 중국 항공금융업의 핵심 발전구역으로 자리 잡음.
  
    * 항공기 임대기업: 항공기업을 대상으로 항공기를 임대해주는 기업. 즉 임대기간 내에 사용권을 넘겨주는 형식
   
 

  
□ 톈진 항공우주산업 관련 주요 행사
  
  
  
  ㅇ 제4회 중국(톈진) 국제 헬기 박람회[第四届中国(天津)国际直升机博览会]
                                                                                                   


                               
□ 시사점
   
  
  ㅇ 한중 항공기 무역 교류는 안정적
  
    - 2017년 상반기 기준, 한국은 미국, 프랑스, 독일 등 국가에 이어 중국의 항공기 수입 대상국 8위 기록
  
    - 중국의 '항공기, 우주선 및 관련 부품(HS Code 제88류)' 대한국 수출도 완만한 증가세


  

2016~2017 분기별 '88' 대한국·대중국 수출 현황

external_image

자료원: GTA
  


 ㅇ 항공우주산업은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적 지지를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중국 항공산업 시장 확대와 맞물려 급성장을 이를 것으로 기대
  
    - 중국은 오는 2021년까지 향후 5년간 △ 차세대 정보기술(IT) △ 항공우주 △ 해양장비 △ 신에너지 자동차 △ 인공지능 로봇(AI) △ 농기계 △ 바이오·의료기기 등을 4차 산업혁명의 10대 신 성장산업으로 중점 육성할 계획
  
    - 또한 2020년까지 10대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15%까지 확대할 계획
  
    - 이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역시 확대되는 가운데 지난해 중국의 R&D 투자액은 1조3000억 위안으로, 전 세계 R&D 투자액의 20% 차지 


  
  ㅇ 이와 함께 중국 국유기업들의 구조조정과 맞물린 항공우주, 신소재, 정보통신 등 분야 국유기업의 민간기업 기술 및 시스템 벤치마킹 수요는 항공우주산업의 기업 간 협력 수요를 더욱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됨. 


  
  ㅇ 특히 중국 로컬기업들의 기술력이 아직까지 높은 수준에 오르지 못한 분야가 많기 때문에 에어버스, 보잉 등 현지 진출 글로벌기업의 파트너링 수요를 공략할 필요가 있음.

  
    - 글로벌 항공 제조 기업들은 중국 시장의 잠재력을 염두하고 톈진 지역에 진출했으나 조립생산 위주로 부품 소싱의 현지화는 매우 제한적
  
    - 현지 관련 전시회 참가와 글로벌 제조사 대상 파트너링 상담회 참여 등을 통해 협력기회를 찾고 수출 외에도 직접 진출, 투자유치 등 중장기적 진출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으로 판단됨. 

 


  
**자료원: 톈진일보(天津日报), 톈진망(天津网), 봉황망(凤凰网), Sohu, 중국 민용항공망(中国民用航空网),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중국 산업정보망 등 중국 언론, 한국 무역협회, GTA, 전자신문 및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이종은 중국 톈진무역관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8.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10.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