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上海 외국계 ‘독자’ 병원 들어선다

[2024-12-02, 13:07:23]
[사진 출처=CCTV13]
[사진 출처=CCTV13]

상하이를 비롯한 중국 8개 지역에 외국계 독자 병원이 들어선다.


30일 제일재경(第一财经)에 따르면 29일 국가위생건강위원회(国家卫生健康委员会)에서 ‘독자 병원 분야 확대 개방 시범 작업 방안’을 통해 베이징, 톈진, 상하이, 난징, 쑤저우, 푸저우, 광저우, 선전, 하이난다오 전체 섬에 외국계 독자 병원 설립을 승인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중의병원이나 합병한 국립병원은 제외한다.


이 ‘방안’은 지난 9월 8일 발표한 ‘의료분야 확대 개방 시범 작업에 대한 통보’ 문건을 좀 더 세분화 한 것이다. 이번 문건에서는 시범 조건, 관리 방식 등을 담았고 중국의 외국 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확고한 의지를 담은 것으로 업계 인사들은 풀이했다.


2023년 기준 중국 병원 수는 3만 8000개로 이 중 3급 병원은 3855개다. 의료 서비스와 체제가 향상되고 있지만 국립병원을 찾는 환자 비중이 83.5%로 높은 상태다.


‘방안’에 따르면 중국에 들어설 외국계 독자 병원은 주로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중국인과 중국에서 유학, 취업,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들이 주요 서비스 대상이 된다. 다른 중국 병원에 의료 위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상호 보완’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상하이 촹치건강발전연구소(创奇健康发展研究院) 차이장난(蔡江南) CEO는 “외국인 외에도 해외 선진 의료 기술을 체험하고 싶은 고소득층도 새로운 타깃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상호 보완’이 일어나는 분야는 ‘신기술’, ‘신 치료법’, ‘신약’에 집중된다. 다만 새롭고 수준 높은 의료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안전’에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라오제춘(高解春) 푸단대학 의과관리연구소 소장은 “이미 국제적으로 검증이 된 신기술을 먼저 도입하고 중국에서 임상 시험만 진행하며 신기술을 테스트하는 방식은 경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외국계 독자 병원은 의료보험 지정 병원 신청도 가능하다. 다만 업계에서는 의료보험 지정 병원 선정은 시범 도시 현지의 의료보험 재정 상황을 면밀히 평가한 뒤 지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민정 기자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中 2024년 1인당 가처분소득 5...
  2. CATL, 작년 순이익 10조원…올해..
  3.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경제

  1. 中 2024년 1인당 가처분소득 5...
  2. CATL, 작년 순이익 10조원…올해..

사회

문화

  1. [책읽는 상하이 267] 게으르다는..
  2.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3. [책읽는 상하이 268] 자기 앞의..
  4. [책읽는 상하이 269] 자기 앞의..
  5. 윤발 형님 ‘러닝 크루’ 합류한 왕바..

오피니언

  1.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9] 200..
  2. [상하이의 사랑법 21] 작가의 사랑..
  3. [허스토리 in 상하이] ‘이상한 힘..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