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코트라] 말레이시아, 건설시장 성장과 밀려드는 중국 건설기업들

[2017-05-18, 09:51:28]

- 2017년 말레이시아 건설시장은 8% 성장해 1700억 링깃 규모로 성장 예상 –
 
- 교통분야 인프라, 전력 플랜트, 신재생에너지, 중저가 주택 건설시장 유망 -
 
- 철도부문은 대형 프로젝트 추진으로 2021년까지 연 8.3%의 성장예상 -
 
 
□ 말레이시아 건설시장 현황 및 성장 전망
 
  ㅇ BMI 시장 분석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건설시장은 2015년 10.7%에서 2017년 6.6%, 2021년 5.3%이 될 전망임.
 

  ㅇ 그러나 말레이시아 건설산업개발위원회(CIDB) 분석에 따르면, 2017년 말레이시아 건설산업은 현재 진행 중인 대형 프로젝트들의 영향으로 8%의 성장을 기록하며 1700억 링깃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함.


 말레이시아 건설산업개발위원회(CIDB)

 자료원: Youtube 홍보 화면

 
  ㅇ 2016년 말레이시아 건설시장 규모는 1664억 링깃으로, 2015년 1400억 링깃에 비해 8.2% 성장했음. 그러나 건설 프로젝트 수는 2015년 7455개에서 2016년 6305개로 감소한 상황임.


  ㅇ 2016년 건설 프로젝트 중 29.1%에 해당하는 485억 링깃 규모의 프로젝트가 공공부문이었고, 나머지 70.9%는 민간부문 프로젝트였음.


  ㅇ 대표적인 공공 프로젝트로는 국영석유 PETRONAS의 쁭어랑(Pengerang) 지역 종합석유화학단지(RAPID), 수도권인 끌랑밸리(Klang Valley) 지역 MRT 2호선, 그리고 보르네오섬 북부주를 연결하는 범보르네오고속도로 등을 들 수 있음 

 

  ㅇ 이런 대표적인 국가 인프라 프로젝트들이 말레이시아 건설산업과 더불어 제조업 성장과 국가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고, 2017년 GDP 증가에도 중요한 축이 될 것으로 예측됨.
 
□  건설시장 주요 성장 부문 및 성장 잠재시장


  ㅇ 말레이시아 건설시장에서 교통분야 인프라 시장은 가장 성장성이 높은 분야이며, 전력 플랜트 시장도 공급 확장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가 예상돼 전망이 밝은 편임. 

 

  ㅇ 그러나 사무용 빌딩과 주거용 건물 시장은 그동안 과잉투자 여파로 당분간 숨고르기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ㅇ 2017년 예산안에서도 전년대비 460억 링깃(약(108억 달러)의 인프라 예산 감소가 예정돼 있었지만, 실제로는 추경 등으로 확장 여지는 있는 상황임.
 

  ㅇ 특히 교통 인프라가 2017년 9.2%로 성장하면서 전체 인프라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5년간 7.9%의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ㅇ 그 중에서도 철도 부문은 말싱 고속철과 동부 해안철도 등 굵직한 프로젝트들을 끼고 2021년까지 연 8.3%의 성장을 이룩할 것으로 보임. 
 

  ㅇ 그 밖에 도로 및 교량부문도 철도시장과 마찬가지로 견고한 성장세를 지속하면서, 2021년까지 연 8%대 성장을 이룩할 전망임.

 
  ㅇ 사무용 및 상업용 빌딩 건축시장은 그동안 과잉개발 우려가 있던 상황이어서,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이 없는 한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측됨. 

 

  ㅇ 다만, 조호르 지역과 말라카 지역에 대한 중국의 대규모 개발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도 있음.  

 

  ㅇ 그동안 주로 고급 주거용 아파트나 주상복합단지들에 개발이 집중됐으나, 앞으로는 중하위 소득층들의 주거공간에 대한 건축 수요가 늘어날 것임. 

 

  ㅇ 2017년 예산안에서도 서민형 주거 주택에 대한 지원안이 많이 반영됐고, 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해 대중은 좀 더 저렴한 주택에 대한 수요로 이동 중임. 

 

  ㅇ 발전 플랜트 분야에서도 바이오매스와 태양광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점점 주목을 받고 있음. 
 
□ 도심 Bandar Malaysia 개발사업권 취소 사태
 

  ㅇ 수도 쿠알라룸푸르 내 '말싱고속철도'의 종착역이 위치할 Bandar Malaysia지역(197헥타르)에 대한 개발권을 받았던 ICSB가 약속했던 자금투입에 실패하면서 소유권은 다시 말레이시아 재무부에 귀속됐음. 
 

  ㅇ 쿠알라룸푸르 내 현재까지 가장 큰 개발프로젝트였던 Bandar Malaysia 개발 프로젝트는 원래 국영펀드였던 1MDB에 주어졌다가, 구조조정 과정에서 재무부로 귀속돼 ICSB로 개발권이 부여됐던 것임.
 

Bandar Malaysia 조감도

자료원: Youtube 홍보 화면

 
  ㅇ ICSB는 말레이시아 조호르 지역 기업인 Iskandar Water­front Holdings Sdn Bhd(IWH)와 중국 국영철도기업인 China Railway Engineering Corporation(CREC)가 각각 60% 대 40%로 합작한 기업임. 

 

  ㅇ ICSB는 2015년 12월에 Bandar Malaysia의 60% 지분에 해당하는 74억 링깃을 투자하면서 1MDB로부터 사업권을 인수했음.  

 

  ㅇ 이러한 갑작스런 사업철회는 외형상으로는 중국 정부가 지난 3년간 1조 달러에 달하는 과도한 자본해외유출이 발생한 것을 규제하는 조치의 일환으로 이해되고 있음. 

 

  ㅇ 그러나 몇 천만 달러밖에 안되는 선금지불이 안되서 철회가 되는 현 상황의 근본적인 이유를, 중국과 말레이시아 정부 간에 고속철역사 소유권 및 전체 설계 등에 관한 이슈에서 의견을 조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음.  

 

  ㅇ 비록 사업권이 반환되기는 했지만 말레이시아 정부는 한국, 일본, 중국 혹은 미국에서 투자자를 물색 중이며 차후 말레이시아 기업들을 하청업체로 적극 활용할 투자자를 찾는다고 밝힘.
 

  ㅇ 하지만 2026년에 완공될 말싱고속철도를 전제로 이미 오를만큼 오른 Bandar Malaysia 지역에 투자할 잠재투자자 물색이 얼마나 수월하게 진행될 지는 아직까지는 미지수임.


  ㅇ 더구나 Bandar Malaysia 개발과 연계해 CREC가 약속했던 80억 링깃 규모의 동남아 철도사업지역본부 설치 운영도 불투명해지는 상황이어서, 모처럼 상승세를 타고 있는 링깃화 환율에도 찬물을 끼얹는 꼴이 되고 있음.
 
□ 중국 기업들의 말레이시아 건설시장 진출
 

  ㅇ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중국 기업들의 강점으로는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저렴한 자금과 저가 노동력 동원이 가능하다는 것과, 건축자재 공급이 원활하고, 빠른 시공기간 등이 꼽히고 있음.
 

  ㅇ 중국 정부는 중국 수출입은행, 중국 수출보험공사, 중국 건설은행 등을 통해 저렴한 투자자금을 지원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계 건설업체들이 공격적으로 건설시장에 파고들고 있는 것


말레이시아 진출 중국 건설은행 전경 

자료원: Parisine.com


  ㅇ 이미 아프리카와 중동 건설시장에서 안정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좀 더 발전된 시장으로 진출을 모색하는 단계라고 함.
 

  ㅇ 최근에 말레이시아에서도 중국이 자금력을 앞세워 Gemas-Johor Baru 철도복선화 프로젝트와 동해안철도(East Coast Rail Link: ECRL) 프로젝트를 수주한바 있음.
 

  ㅇ 심지어 말레이시아 현지 기업들조차 중국기업과 직접 경쟁해 해당 프로젝트를 따기보다는 하청 기업이으로 들어가는 방안을 모색할 정도로 중국 기업들의 진출이 거센 상황임. 
 
□ 한국 건설기업 진출 현황과 향후 시장개척 전략 

 

  ㅇ 그동안 한국 건설기업들은 시내 고급 사무용·상업용 빌딩 건축이나 전력 플랜트 등에 집중적으로 진출을 추진해 성공적으로 시장을 개척해 왔음.
 

  ㅇ 그러나 지속되는 수익성 하락과 현지기업들의 견제, 중국기업과의 경쟁심화로 점점 시장개척에 애로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임. 

 

  ㅇ 특히 유가 인하로 인한 말레이시아 정부의 재정악화로 많은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민간자본투자(Private Financing Investment) 역량이 요구되는 프로젝트들이 늘고 있음. 
 

  ㅇ 더구나 정부 간 협상과 거래를 통한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까지 늘어나면서, 대형 프로젝트 수주는 점점 더 어려워지는 여건임. 
 

  ㅇ 따라서 현지 기업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프로젝트 초기 타당성 조사부터 참여하는 방식으로,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을 전개해 갈 필요가 있음. 
 

  ㅇ 펀딩 부문에서도 정부 지원자금 조달에만 매달리지 말고, 이슬람 금융이나 저금리의 선진국 금융 혹은 MDB 자금 등을 연동시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ㅇ 또한 인프라 프로젝트 진행과정 중, 건설 품질 감리나 안전성 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해당 분야의 건설서비스 시장 진출도 고려해 볼 수 있음. 
 

  ㅇ 아울러 KOTRA 무역관에서는 현지 주요 프로젝트의 개요 정보와 건설 단계별 참여자들 정보를 DB형태로 확보하고 있으므로, 사전에 이런 정보들을 적극적으로 확인해 네트워킹과 마케팅에 활용해야 함.   
 
자료원: BMI 시장보고서, 현지 언론기사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의견 종합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제35회 상하이여행절, 개막식 퍼레이..
  2. 태풍 ‘버빙카’ 중추절 연휴 상하이..
  3. [선배기자 인터뷰] 공부하면서 얻은..
  4. 中 집값 어디까지 떨어지나… 전문가..
  5. 中 전기차 8월에만 102만대 판매...
  6. 상하이, 75년만에 역대급 태풍 상륙..
  7. 디디, 연휴 앞두고 기사 포함 단기..
  8. [허스토리 in 상하이] ‘열중쉬어’..
  9. 화동연합회 3분기 정기회의 宁波서 개..
  10. [학생기자논단] 경계를 넘나드는 저널..

경제

  1. 中 집값 어디까지 떨어지나… 전문가..
  2. 中 전기차 8월에만 102만대 판매...
  3. 디디, 연휴 앞두고 기사 포함 단기..
  4. 삼성SDI, 편광필름 사업 中 우시헝..
  5. 여름의 끝자락, 상하이 9월 미술 전..
  6. 중국 500대 기업 공개, 민영기업..
  7. CATL, 이춘 리튬공장 가동 중단…..
  8. 중추절 극장가 박스오피스 수익 3억..

사회

  1. 태풍 ‘버빙카’ 중추절 연휴 상하이..
  2. 상하이, 75년만에 역대급 태풍 상륙..
  3. 화동연합회 3분기 정기회의 宁波서 개..
  4. 장가항 한국주말학교 개학 “드디어 개..
  5. 13호 태풍 버빙카 상륙...허마,..
  6. 上海 14호 태풍 ‘풀라산’도 영향권..
  7. 빅데이터로 본 올해 중추절 가장 인기..

문화

  1. 제35회 ‘상하이여행절’ 14일 개막..
  2. 제35회 상하이여행절, 개막식 퍼레이..
  3. 韩中 문화합작 프로젝트, 한·중 동시..
  4. ‘아름다운 한글, 예술이 되다’ 상..
  5. 中 축구협회 “손준호, 영구제명 징계..
  6. [책읽는 상하이 253] 너무나 많은..
  7. [책읽는 상하이 252] 뭐든 다 배..

오피니언

  1. [교육 칼럼] 목적 있는 배움
  2. [허스토리 in 상하이] ‘열중쉬어’..
  3.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4] 뭐든지..
  4. [교육칼럼] ‘OLD TOEFL’과..
  5. [무역협회] 중국자동차기업의 영국진출..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