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중국 청명절은 이렇게… 풍습과 음식

[2009-04-08, 11:33:25] 상하이저널
해마다 양력 4월 5일을 전후로 있는 청명절은 올해는 4월4일에 들었다. 청명이라는 명칭은 날씨가 ‘맑고 깨끗하다’는 뜻이다. 청명에 하는 일은 중국과 한국이 거의 비슷하다. 조상의 묘를 찾아 벌초를 하고 성묘를 하는 것과 봄꽃놀이나 나들이를 떠나는 것이다. 이른바 봄놀이에 제격인 답청 즉‘푸른 풀을 밟아보기’ 위한 관광객들이 기다렸다는 듯이 외출에 나선다. 때문에 이때는 출행길에 나선 수많은 인파나 차량들로 인해 자칫 북새통을 이루거나 도로교통이 정체되는 현상도 심심찮게 생긴다.
중국의 청명절 풍습은 성묘뿐 아니라, 답청, 그네뛰기, 버드나무 가지 꽂기, 공놀이 등 각종 운동이나 풍습들도 전해진다.


청명절 풍습

묘를 찾을 때면 일반적으로 흰 백합(白百合), 흰 국화, 흰 장미 등 흰색 꽃을 사용하거나 소박한 식물 등을 주로 선택한다. 그러나, 그것도 틀에 박인 것이 아니라서 요즘에는 물망초나 노란 장미 등을 들고 묘를 찾는 사람들도 적잖다.

그네뛰기(荡秋千)
중국 고대 청명절 풍습이다. 그네(秋千)는 가죽 끈을 잡고 이동하다(揪着皮绳而迁移)를 뜻하며 일찍 치엔치우(千秋)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이후에 치우치엔(秋千)으로 바뀌었다.

축국(蹴鞠)
옛날의 공차기 놀이이다. 쥐이(鞠)는 가죽으로 만든 공이며 안에는 털이나 풀 등으로 꽉 채워지고 발로 차며 즐기는 놀이다. 옛날에는 청명절에 사람들이 가장 즐기는 게임 중 하나였으며 전하는데 의하면 황제가 발명한 것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군사훈련용으로 개발됐다.

답청(踏青)
봄놀이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탄춘(探春), 쉰춘(寻春)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꽃피는 춘삼월이면 세상만물이 생기를 띠고 나들이하기 좋은 계절이므로 오래 전부터 청명에 답청하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

나무심기(植树)
햇빛이 따스하고 봄비가 흩날리는 시기이므로 이때 심은 나무는 생존율이 높고 성장이 빠르다. 따라서 옛날부터 중국은 청명절에 식수하는 풍습이 있다. 어떤 이들은 청명절을 '식목일(植树节)'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 날리기(放风筝)
청명절에 가장 많이 즐기는 행사 중 하나.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연 날리기를 한다. 밤에는 아름다운 색상의 꽃등을 날리기 때문에 반짝반짝 빛을 뿌리는 것처럼 보여 ‘신의 등불(神灯)’이라고도 한다. 하늘 높이 날고 있는 연의 줄을 일부러 끊기도 하는데, 이는 모든 질병과 재난이 자신에게서 멀어지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성묘(扫墓)
일반적으로 묘지를 찾아서 진행한다. ‘보따리 태우기(烧包袱)’는 조상제를 지내는 중요한 형식이다. 소위 ‘보따리’는 살아있는 가족들이 망자에게 저승으로 태워 보내는 물품이다. ‘보따리’에는 저승에서 사용되는 돈인 지전(冥钱)이 들어있는데 그 종류도 다양하다. 오늘날, 인민폐, 미달러 등 다양한 액면가의 지전이 있으며 위에 ‘천당은행’, ‘저승은행’ 등 글이 적혀있다. 또 금박지나 은박지를 사용해 옛날 금덩이 모양으로 만든 위엔바오(元宝), 집, 자동차 등 여러가지 모양의 지전들이 있다. 청명절 성묘, 지전 태우기 등 행사가 끝나면 그 자리에서 술을 마시고 제사음식을 먹거나 연을 날리기도 한다. 어떤이들은 버드나무 가지로 둥그렇게 엮어 머리위에 얹기도 하는데, 이는 ‘청명에 버들을 쓰지 않으면 내생에 누렁이가 되리’라는 속설때문이다.

버들 꽂기(插柳)
청명이면 집집마다 문어구에 수양버들을 놓아두는데 이는 봄이면 기온이 따뜻해져 각종 바이러스 번식이 많아지기 때문에 벌레나 곤충의 피해를 입지 않고 질병에서 멀어진다는 뜻을 상징한다.
또 다른 설법은 버들이 귀신을 물리친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한다.


청명절 음식
한식(寒食)
한식과 청명을 함께 묶어 쇠기 때문에 청명절에 한식을 먹는 풍습이 지금도 일부 지방에서 전해지고 있다. 산둥성을 비롯한 일부 지방에서는 지금도 청명절에 찬 음식을 먹는다.

달걀
일부 지방에서는 청명절에 달걀을 먹으면 임신이 된다는 속설로 인해 이날 달걀을 먹기도 한다. 또 성묘를 할 때 삶은 달걀을 묘비에 쳐서 깨뜨린 다음 껍질을 무덤 위에 얹어 껍질을 깨고 나오듯이 새로운 인생을 맞이하고 자손이 널리 이름을 떨치기를 기원하기도 한다.

친투안(青团)
상하이는 청명절에 칭투안을 먹는다. 칭투안은 연맥초즙과 찹쌀을 함께 섞어 녹색 즙이 쌀가루에 골고루 스며들도록 한 다음 팥고물이나 대추를 으깨어 소를 넣고 갈대잎 위에 얹어 찜통에 찐 떡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칭투안은 색갈이 곱고 냄새가 향긋하다.

칭밍빙(清明饼)
스촨(四川) 일대에서는 청명절에 채소와 밀가루, 고추 등을 넣어 만든 칭밍빙(清明饼)을 만들어 먹는데 향긋하고 맛있다고 한다.

칭밍차이떡(清明菜粑)
꾸이저우(贵州) 안쑨툰바오(安顺屯堡) 일대에서는 청명절쯤에 나오는 채소인 칭밍차이(清明菜)와 밀가루를 섞어 고기와 채소 소를 넣은 떡을 만드는데 그 모양이나 만드는 방법이 독특하다. 칭밍차이는 일종 섬유식물로, 이렇게 만들어진 떡 맛이 일품이라고 전해진다.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아줌마 이야기>제 이름 아세요? 2009.04.08
    얼마 전 알고 지내던 한 젊은 엄마가 귀국을 하게 돼서 함께 식사를 할 기회가 있었다. 그때 그 엄마 말이 유치원 다니는 자기 아이의 친구 엄마들끼리도 함께 마지..
  • <독자투고>단순한 아들 VS 집중력 흐린 딸 2009.04.08
    결혼 6년 차, 이제야 남편을 이해하기로 했다. TV를 볼 때면 소소한 말다툼이 시작되는 우리 부부. 항상 주범을 남편으로 몰아세웠던 지난 날들을 반성해 본다...
  • [최원탁컬럼}김연아 신드롬을 보며 2009.04.08
    한국인 최초 세계 피겨 선수권대회 우승김연아가 울었다. 그 동안 각종 국제대회에서 우승을 하면서도 시상대에서는 항상 밝은 미소로 천진난만하게 웃기만 하던 그녀가..
  • 백두산풍경구역 입장료 반값 인하 2009.04.08
    백두산풍경구관리측은 비수기를 맞아 입장료를 반값 인하, 국내의 관광객 유치에 나섰다. 매년 3월은 관광비수기이지만 올해 1월부터 현재까지 연변을 찾는 관광객은 지..
  • 연길경제개발구, 연변대학경제관리학원과 합작관계 2009.04.08
    연길경제개발구와 연변대학 경제관리학원은 지난 3월 27일 조인식을 갖고 향후 5년간 연길경제개발구는 연변대학 경제관리학원의 일부 학생들이 개발구에서 학습, 실습하..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上海 허촨루역 출근길 칼부림…3명 부..
  2. 상하이, 내일부터 장마 시작…올해 강..
  3.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4.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5.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50살 생일!..
  6. 中 2023 대졸생 평균 월급 115..
  7. 샤오미 전기차 판매량 ‘뚝’…신세력..
  8. 中 70개 도시 5월 부동산 가격 공..
  9.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10. 테슬라, 중국 내 완전자율주행 출시..

경제

  1. 상하이, 내일부터 장마 시작…올해 강..
  2.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50살 생일!..
  3. 中 2023 대졸생 평균 월급 115..
  4. 샤오미 전기차 판매량 ‘뚝’…신세력..
  5. 中 70개 도시 5월 부동산 가격 공..
  6. 테슬라, 중국 내 완전자율주행 출시..
  7. 알리페이, 콘텐츠 이용자 8배 급증…..
  8. 미국 상장 중국 온라인 교육 앱 51..
  9. 업계 경쟁 심화에 CATL 주6 13..
  10. 中 5월 신에너지차 침투율 47%…내..

사회

  1. 上海 허촨루역 출근길 칼부림…3명 부..
  2.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3.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4.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5. 벌써? 中 작년보다 40도 넘는 속도..
  6. 中 딥페이크로 학생·동료 나체사진 7..
  7. 상하이 宜山路역 ‘찜통’ 환승통로 무..
  8. 中 청두, 지하철 공사 중 12미터..
  9. 중국 31개 省市 중 11곳 상주인구..

문화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상하이 호반 국제 뮤직 페스티벌’..
  3. [책읽는 상하이 242] 나인
  4. [책읽는 상하이 243] 줄리언 반스..

오피니언

  1.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2.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3.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4. [무역협회] 인도의 중국 '디커플링'..
  5. 2024 화동조선족주말학교 낭송·낭독..
  6. [상하이의 사랑법 14]사랑이 식었을..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