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코트라] 중국 창업 열기, 혁신창업으로 질적인 도약 중

[2017-04-05, 10:26:38]

- ‘대중창업, 만중혁신’ 기치 아래 하루 평균 1만5000개 기업 창업 -

 


- 정부와 기업 주도의 창업보육센터 2016년도 2363개 신설, 스타트업 지원 -


- 한국 스타트업도 한중 공동 창업의 형태 등으로 중국 창업생태계 진출 타진 필요 -


□ 중국 신설기업 현황


  ㅇ 리커창 총리, 산업 고도화와 미래산업 육성을 위해 2015 전국양회서 ‘대중창업, 만중혁신’ 정신을 강조
    - 중국 국무원은 2016년 6월 「‘대중창업, 만중혁신’시범기지 실시에 대한 의견」*을 공포, 중국 내 주요 지역에 창업 시범단지 건립을 추진
    * 2018년 말까지 중국 내 17개 도시에 ‘대중창업, 만중혁신’ 시범기지, 대학혁신 시범기지, 기업혁신 시범기지 등 시범 창업단지를 중점 설립하고, 지역별 상황에 맞춘 발전 모델을 수립해 창업단지를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
    - 2017 양회에서 중국 정부는 지난 2016년 한 해 동안 혁신에 성공해 산업 동력 전환 및 산업구조 업그레이드를 이루었다고 평가하며, 대기업·과학연구소·고등교육기관의 전문화된 창업공간 창출을 독려하고 혁신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솽촹(双创, 창업과 혁신) 서비스체계를 구축할 것이라 발표


  ㅇ 2016년도 중국 내 신규 등록 기업은 552만8000개로 전년동기대비 24.5% 증가, 2012년 이후 20% 이상 증가세 지속
    - 2016년 12월 기준, 중국에 설립된 창업 공간은 3449개로 이는 전년대비 2363개가 늘어난 수치(전년대비 46.0% 증가)
    - 2016년 중국 신설등록 법인 수는 553만 개로 매일 평균 1만5000개의 기업이 설립되고 있으며, 이는 같은 해 한국의 신설 법인수 9만6000개의 58배에 달함.

 

중국 신규 등록 기업

 

자료원: 중국공상총국 자료 종합


  ㅇ 샤오미(小米) 등 중국 다수의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등 성공 반열에 오름.
    * 유니콘 기업: 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기업을 말함. 스타트업이 상장하기 전에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가 되는 것은 상상 속에나 존재한다 해 붙여진 이름.
    - 2016년 FORTUNE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유니콘 기업 174개 중 중국 기업은 33개로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함. 10위권 안에는 샤오미(小米), 디디추싱(滴滴出行), 메이투안(美团点评)이 이름을 올림.
    - 온라인 화장품 쇼핑몰 JUMEI(聚美优品)는 설립한 지 3년 만에 연간 거래액이 25억 위안을 돌파


□ 중국 창업 열풍


  ㅇ 중국 청년들은 제2의 마윈이 되기 위한 성공의 수단으로 그리고 취업난의 대안으로 창업을 선택
    - 창업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에서 한국 대학생은 6%만이 창업을 희망하는 반면, 중국 대학생은 40%가 희망
    - 2017년 중국 실업자 수 100만 명을 돌파하며 실업난이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청년실업률 9.8%로 2년 연속 최고치 기록 경신함.
    - 레이쥔, 마윈 등 성공한 창업가의 등장으로 청년들은 창업에 대한 동경심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김.
    - 취업창업(就业创业, 창업으로 취업한다)이란 말이 생겨날 정도로 취업을 대신한 창업이 유행하고 있으며, 젊은 나이에 시도는 해 보자라는 인식이 확산
    - 중국 학부모들도 자녀를 제2의 마윈으로 키우기 위해 STEAM* 교육 열풍
    *STEAM: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s), 수학(Mathematics). 실생활에 밀접한 IT 융합 교육을 가리킴. 레고 조립, 코딩 교육 등이 대표적


  ㅇ 중국 정부는 뉴노멀 시대에 실업률 완화와 산업 고도화를 위해 창업을 독려하고 혁신기업을 육성하는 각종 정책을 시행
    - 중국 정부는 혁신기업의 아이디어를 보호하고 기업 간 공정 경쟁을 강화하기 위해 지적재산권 보호 정책을 강화하고, 창업 가능 분야 확대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서 전방위적인 창업이 이뤄지도록 유도
    - 중국 정부는 ‘삼증합일, 일조일마’* 등 기업등록 절차 간소화 제도를 시행하고 신삼판** 등록 기준을 완화해 기업 자금조달의 용이성을 높임.
    * 삼증합일(三证合一), 일조일마(一照一码): 영업허가증, 조직기구대마증, 세무서 등기를 통합해 발행
    ** 신삼판(新三板): 중국의 중소벤처기업 중심 장외 주식시장으로, 2016년 한 해 동안 자본규모가 8배 이상 성장함.
    - 중국 정부 주도의 국가창업투자기금 400억 위안 자금 조성, 창업 기업소득세 50% 감면 등 금융 지원 정책 시행
    - 정부 주도의 대중창업보육센터를 설립하고 민간 창업보육센터에 정책적, 금전적인 지원을 강화하는 등 스타트업 육성과 관련 인재 양성을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


  ㅇ 기존 기업들은 개방형 혁신을 위해 유망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와 인수합병을 병행
    - 샤오미, 자사 혁신플랫폼(샤오미생태계)에 화미커지(미밴드 개발 회사) 등 총 50개의 스타트업 육성 중
    - 텐센트는 혁신 선도를 위해 자사 보유 플랫폼과 유저 정보를 육성 중인 스타트업에 공개


□ 중국 창업, 개혁개방 이후 40년간 소규모 자영업 창업으로부터 혁신 주도 창업까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


  ① 1979~1992년: 개혁개방 초기 자영업(个体户) 위주의 창업 시작
    - 문화대혁명 종료 후 고향으로 돌아온 청년 800만 명의 취업난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제한적으로 개인 사업을 허가
    - 청년들은 가구 수리점, 음식점, 길거리 장사 등을 시작


  ② 1992~2000년: 시장경제 본격화에 따라 건설·제조업 등 분야의 기업 창업이 본격적으로 시작
    - 남순강화 이후 인민들은 계획경제 사상에서 벗어나 시장경제체제를 수용하기 시작
    - 국유기업 소속이었던 SOHO 그룹 대표이사 판실이(潘石屹)는 사직 후 동료와 함께 건설회사 SOHO를 설립함


  ③ 2000~2010년: 인터넷 보급 확산에 따라 온라인게임, 전자상거래, 검색서비스 등 IT 분야로 창업 확산
    - MIT 박사과정이던 장자오양(张朝阳) 중국판 야후인 SOHU(搜狐) 검색 엔진을 개발


  ④ 2014년~이후: IT 융합 서비스업, 첨단제조 등 혁신 창업으로 기업창업 고도화 추진 중


□ 중국 창업 특징

 
  ㅇ 서비스 업종 중에서도 인터넷 금융, 전자상거래, 교통서비스, O2O, 교육업의 비중이 절반 이상 차지
    - 최근 공유 자전거 업계 ofo 등 약진으로 공유자전거 시장이 거래액 5400만 위안으로 성장하며 공유경제분야가 인기


  ㅇ 중국 창업은 큰 소비시장을 활용해 성공 시 단기간에 자본 축적이 가능하다는 강점 보유
    - 중국의 큰 시장을 활용한 텐센트는 매출 25조 원을 기록. 이는 한국의 카카오 매출 1조4642억 원의 16배
    - 중국 기업들은 큰 시장을 활용해 축적된 자본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거나 기술 개발에 투자해 사업 확장 진행 중


  ㅇ 중국 정부 뿐 아니라 텐센트, 샤오미 등 기업들도 혁신기술 발굴을 위해 스타트업 인큐베이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 중국 정부는 인큐베이터에 사무실 임대 비용, 인터넷 이용 비용, 공공 소프트웨어 등을 보조
    - 텐센트는 중국 전국 19개 도시(상하이, 선전, 톈진 등)에 텐센트 창업공간 운영하며 스타트업에 온라인 지원


□ 톈진시, 빈하이신구에 민관협업 창업보육센터 운영, 텅쉰, 레이라이(耒来) 등 민간업체 참여


  ㅇ 톈진 빈하이 창업공간에서는 입주 스타트업 기업에 사무실을 제공하고 인재와 투자자를 연결해주는 등 다각도로 창업을 지원
    - 톈진시 정부는 스타트업에 정책적, 금전적 혜택을 제공하고 생활편의 등 제반 사항을 모두 지원
    - 창업보육센터 공동 운영 중인 민간기업 텅쉰과 레이라이는 창업 교육을 전담하며, 스타트업의 사업화 시점에서 투자여부를 결정해 벤처투자 역할도 수행
    - 텐센트는 자사가 보유한 동시접속자 8억 명의 강력한 온라인 플랫폼(위챗, QQ)을 사용, 스타트업이 자사 플랫폼 생태계를 통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사업화하는데 보유 정보를 공개 및 활용 지원 중(성공 시 텐센트 플랫폼 위에 탑재 가능)
    - 현재 톈진텅쉰창업공간에 입주한 기업은 55개사로 O2O서비스, 전자상거래, VR 기술 등 IT 분야 스타트업이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위해 노력


  ㅇ 톈진 텐센트창업공간의 성공사례가 이어지면서 입주 기업들이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
    - 생활권(生活圈科技有限公司)은 대학 연합 메신저 플랫폼으로 2016년 3월 톈진텐센트창업공간에 입주, 반년 만에 기업가치가 2000만 위안에서 5억 위안으로 25배 성장하는 성과를 거둠.
    - 바비라마(芭比辣妈)는 왕홍(파워블로거)을 활용한 유아제품 판매 서비스를 기반으로, 2016년 6월 톈진텐센트창업공간 입주 이후, 기업 가치가 700만 위안에서 5000만 위안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룸.
    - 현재까지 텐센트창업공간 입주 기업 중 신삼판에 등록한 기업은 1개사이며, 기타 대부분은 엔젤 투자를 받거나 심사를 거치기 위해 아이디어를 사업화해가는 단계이나 성공사례가 연이어 창출될 것으로 전망

 

 

자료원: KOTRA 톈진 무역관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창업생태계는 정부와 기업의 수요에 따라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창업생태계에서 창출되는 혁신이 중국의 미래산업 발전의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거대한 중국 내수시장과 정부의 전폭적인 창업 지원 정책, 빠른 혁신속도에 걸맞는 잘 짜여진 창업 생태계 등의 영향으로 중국을 비롯한 해외 고급인재가 중국에서 창업을 시도하고 있음
    - 중국의 해외 유학생도 예전과는 달리 졸업 후 귀국해 창업열풍에 동참하고 있으며, 선전시의 경우 2015년도 유학귀국자 창업비율이 35%를 넘어섬.
    - 미래 생존의 관건이 혁신이라는 인식 하에 기업들도 앞다퉈 창업생태계를 조성해 혁신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발굴하고 자사의 비즈니스 플랫폼에 탑재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중국의 혁신기업인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 등 수많은 글로벌 기업이 자사의 창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는 상태


  ㅇ 우리 스타트업도 한·중 공동 창업의 방식으로 중국의 거대 소비시장을 활용한 아이디어 사업화와 발전기반 구축을 시도 필요
    - 한국 스타트업의 독특한 아이디어를 중국 시장과 결합해 거대 중국시장을 기반으로 사업화에 성공할 경우 빠른 성장과 자본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 남성 맞춤복 O2O 기업 십분정제는 한·중 청년이 공동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베이징 시장을 대상으로 창업 반년 만에 매출액이 5배 증가하는 등 급성장 중
    - 한·중 공동 창업의 경우 양국 창업자 간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고, 철저한 사전 시장분석과 함께 향후 사업개발과 운영에 있어 각자 간 시너지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역할 분담이 필요

 

자료원: 중국 언론자료 종합, 중국공상총국, 중국통계국, 기타 언론 및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8.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10.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