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상해한국학교, 낙양화양국제학교 방문 교류

[2019-06-18, 14:22:12] 상하이저널
윤봉길 풍(風), 상하이에서 일으킨 작은 바람이 낙양까지


지난달 29일부터 31일까지 2박 3일간 상해한국학교 학생 27명과 지도교사 4명은 허난성 낙양의 낙양화양국제학교를 방문해 교류활동을 진행했다.이 두 학교의 교류는 해마다 정례화된 것으로 서로 다른 학교 문화와 중국과 한국 문화를 상호 이해하는 좋은 기회로 여겨왔다. 이런 호평은 해마다 교류를 신청하는 학생들의 증가로 이어져 올해는 교류프로그램 계획서 심사를 통해 활동에 참가할 학생을 선발해 더욱 참신하고 내실있는 교류활동을 할 수 있었다.

이번 교류는 크게 3가지 활동으로 구성됏다.운대산, 소림사, 용문 석굴 방문을 통한 중국의 자연‧문화 이해활동, 낙양군관학교터 방문을 통한 중국 속의 한국 독립운동 역사 체험활동, 마지막으로 낙양화양국제학교를 방문해 교류 공연과 친선 농구 게임을 통한 상호 교류활동이다. 특히 올해는 예년에는 방문하지 않았던 낙양군관학교터를 방문해 역사에 씻겨 이미 흔적도 없어진 그곳에서 일제 강점기의 치열했던 독립운동사를 되돌아 볼 수 있어 더욱 뜻깊은 활동이 됐다. 

 

낙양군관학교와 대한민국 독립운동 역사

낙양군관학교, 어떻게 이렇게 먼 곳에서 한인 독립운동가들을 배출할 수 있었을까. 우리는 이 역사적인 발걸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933년 봄으로 돌아가야 한다. 

1933년, 일제가 상하이사변을 일으키고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전승기념 및 천장절(天長節) 기념식이 거행되었다. 여기서 김구가 이끄는 한인애국단의 단원인 윤봉길은 사열대 위로 폭탄을 던져 일본 고위 간부 한 명을 즉사, 나머지 간부들에게 치명상을 입혔으며, 국내외로 큰 혼란을 가져왔다. 이 사건을 계기로 당시 중화민국의 총통이었던 장개석은 한국인의 독립 투쟁 역량을 다시금 확인하고 김구에게 면회를 요청하였다. 그들은 난징의 중앙군관학교 구내에서 만나 얘기를 나눴고, 낙양 군관학교에 한인 반을 설립할 것으로 합의를 보았다. 그렇게 1934년, 낙양 군관학교에 한인 특별반이 설립됐다. 
 
중국은 한인 청년들을 중국인 학생으로 취급하고 식비, 학비 등을 일체 지원해줬다. 그러나 중국은 이러한 지원을 넘어서서 정훈과 교련 또한 중국식으로 가르치려고 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측에서는 이를 반대했고, 경비와 교사만 제공해 주면 한국인 교관으로 한국의 실정과 분위기에 맞게 정치와 군사훈련을 맡겠다고 주장해 학생의 정치 및 군사훈련은 한국인 교관이 담당하고, 경영은 중국 측에서 담당하게 됐다. 

비록 일본이 한일반의 해체를 요구해 62명의 1기생 밖에 산출해 내지 못했다. 그러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들 졸업생으로 비밀결사를 조직해 대내외로 활동하게 했다. 또한 중국 만주에서 항일 무장투쟁에 앞장섰던 독립군 지도자들의 대부분이 낙양군관학교의 교관이나 장교 후보생이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하겠다.

지금은 미사일 연구소여서 아쉽게도 안으로 들어가 보지는 못했다. 우리는 멀리서 바라보다가 앞에 세워진 비석 앞에서 사진을 찍었다. 매헌 윤봉길 의사가 상하이에서 일으킨 작은 바람이 중국 천지를 흔들고 낙양까지 닿아 훗날의 한국 독립운동의 발돋움 대가 됐다는 점에서 지금, 상하이에 거주 중인 우리들에게 큰 의미로 다가왔다. 그의 호(號)처럼 찬바람을 뚫고 꽃을 피워 세상에 맑은 향기를 퍼뜨리는 윤봉길 의사의 족적을 낙양에서 확인하고 되새길 수 있었던 좋은 기회가 됐다.
                                                       
김나영, 김서진(상해한국학교 10)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쓰촨성 규모 6급 지진... 전 세계 10% 지진.. hot 2019.06.18
      지난 17일 밤 10시 55분 쓰촨성 이빈시 창닝현(宜宾市长宁县)에서 규모 6급의 지진이 발생했다. 그후 2시간 15분동안 크고 작은 여진이..
  • UN “2027년 중국 인구 세계 2위로 밀릴 것” hot 2019.06.18
    “2027년 중국 인구수 세계 2위로 밀릴 것” 앞으로 8년 뒤면 중국의 인구수는 세계 2위로 밀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8일 중국신문망(中国新闻网)은 17..
  • 집값, 70개 도시 중 67개 상승 hot 2019.06.18
     지난 5월 중국 70개 주요 도시 중 67개 도시의 집값이 전달 대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신규 분양주택 가격이 전..
  • 폭스콘, 중국 철수설 부인 hot 2019.06.18
    폭스콘이 최근 세간에 떠도는 '중국 본토 철수설'에 대해 공식 부인했다고 18일 중신경위(中新经纬)가 보도했다. 폭스콘(富士康科技集团)은 17일 공식 위챗계정..
  • 상해한국학교 제 21기 학습 멘토단 해단식 2019.06.18
    지난 12일(수)에 상해 한국학교 음악당에서 제21기 학습 멘토단 해단식이 있었다. 학습 멘토단은 11~12학년 학생들이 멘토, 7~12학년 학생들이 멘티가 되어..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2.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3.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4.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5. 상하이 부동산 新정책 이후 첫 연휴…..
  6.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7. 순환 열차로 떠나는 장삼각 여행지
  8.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9.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10.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경제

  1.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2. 상하이 부동산 新정책 이후 첫 연휴…..
  3.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4.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5. 샤오미 전기차 판매량 ‘뚝’…신세력..
  6. 상하이, 내일부터 장마 시작…올해 강..
  7. 中 70개 도시 5월 부동산 가격 공..
  8. 中 5월 CPI 전년비 0.3%↑
  9. 미국 상장 중국 온라인 교육 앱 51..
  10. 알리페이, 콘텐츠 이용자 8배 급증…..

사회

  1.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2.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3.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4.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5.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6. SHAMP 제17기 입학식 개최 "주..
  7.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8.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9. 上海 허촨루역 출근길 칼부림…3명 부..
  10. 벌써? 中 작년보다 40도 넘는 속도..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3.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4. [책읽는 상하이 242] 나인
  5. ‘상하이 호반 국제 뮤직 페스티벌’..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3.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4.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5.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6.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7. [무역협회] 인도의 중국 '디커플링'..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