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코트라] 숨겨진 중국 2,3선 도시 소비시장 – 장춘편

[2019-07-29, 17:05:40]

- 하얼빈ᆞ선양ᆞ다롄에 이은 동북지역 4위 소비시장 -

- 조선족 집중지로 한국제품에 대한 호감도 매우 높아 -

 

 

 

□ 소비시장 규모 및 구조

 

  ㅇ 장춘(长春)은 약 750만 명 이상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 동북지역의 주요도시임.

   - 중국 동북지역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 장춘은 중국과 동북아시아를 연결하는 관문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성도로 지린성의 정치ᆞ경제ᆞ문화의 중심지임.

 

장춘의 지리적 위치

 

 자료원: 吉林省人民政府新闻办公室

 

  ㅇ 2018년 장춘의 소비시장 규모는 3,000억 위안을 초과했으며, 이는 동북3성 주요 도시 중 4번째 규모에 해당하는 수치임.

 

동북3성 주요도시 소비시장 규모 현황

 (단위: 억 위안)

 

 자료원: CEIC

 

  ㅇ 도시주민 1인당 소비지출은 25,874위안으로 소득의 73.2%를 차지하는 등 동북주요도시(하얼빈 72.3%, 선양 73.2%)와 함께 비교적 높은 수준의 소비성향을 보임.

 

 

주요 도시의 소비성향

(단위: 억 위안)

 

  자료: CEIC

 

   - 항목별 소비지출의 구조를 살펴보면 식품ᆞ주류가 전체소비의 24.8%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주거(21.9%), △교통ᆞ통신(15.2%), △교육ᆞ문화ᆞ오락(11.5%), △의료ᆞ보건(9.7%), △의류(8.0%), △생활용품 및 서비스(5.4%)등의 순으로 비중을 차지함.

 

 

하얼빈 도시주민 항목별 소비지출비중

(단위: %)

 

  자료원: 长春统计年鉴

 

□ 핵심 상권 현황

 

  ㅇ 장춘의 대표적인 상권인 충칭루(重庆路)는 오래된 역사를 가진 상업중심지로 다양한 쇼핑몰들이 모여있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자주 찾는 상권임.

   - 도심지역에 위치한 충칭루는 총 길이 약 1km에 달하는 장춘시 제1의 보행자 거리가 형성되어 있음.

   - 쭤짠(卓展), 완따(万达), 장춘궈마오(长春国贸), 야타이푸원(亚泰富苑) 등 고급 쇼핑몰이 모여 있는 현대적인 상권으로 중국 내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들이 많이 진출해 있음.

 

  ㅇ 홍치제(红旗街) 상권은 홍치제와 꽁농따루(工农大路)가 교차한 십(十)자 형태의 거리로, 90년대부터 장춘시 제2의 번화가로 부상하였음.

   - 오야상두(欧亚商都), 빠리춘톈바이훠(巴黎春天百货), 쓰다이푸스광창(时代服饰广场) 등 다수의 백화점이 모여 있으며, 중ᆞ저급 제품에서 명품 브랜드까지 다양한 소비층을 겨냥한 제품을 취급하고 있음.

   -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제품 중심의 도매상가가 밀집되며, 전자제품 전문 쇼핑몰인 바이나오후이(百脑汇)도 상권 내에 위치해 있음.

 

  ㅇ 그 밖에 도심상권으로 구이린루(桂林路) 상권, 훠처짠(火车站) 상권 등이 있으며, 특히 구이린루 상권은 새롭게 부상하는 상권으로 패션 브랜드 소매상가와 식당이 주를 이뤄 젊은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상권임.

 

장춘 주요 상권분포

자료원: 百度文库

 

 

□ 소비 특징

 

 

  ㅇ 장춘시는 지린성에서 가장 크고 잘 발달된 소비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쥬타이(九台), 더휘이(德惠), 위수(榆树), 송위안(松原) 등 주변지역민들도 장춘에 와서 쇼핑하는 등 지린성 내 쇼핑ᆞ미용 및 문화소비의 중심지로 자리잡고 있음.

   - 현지 소비자들이 명품과 고가 의류에 대한 선호가 높아 다수의 해외 고급 브랜드가 장춘에 진출한 상황임.

 

  ㅇ 지리적 특성으로 한국에 대한 친근감이 높고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편임.

   - 중국 유일의 조선족 자치주인 옌볜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区)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장춘시 내에도 약 10만명의 조선족이 거주하고 있음.

   - 장춘에는 조선족식당과 한국식당이 성업중인 만큼 한국식품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지역임.

 

  ㅇ 겨울이 매우 추운 날씨 탓에 모피, 다운코트 등 겨울철 용품에 대한 수요가 많으며, 눈이 많이 내리고 산이 많은 스키장 밀접 지역으로 스노보드 등 스키용품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고 있음.

 

 

□ 시사점

 

  ㅇ 장춘은 하얼빈ᆞ선양ᆞ다롄에 이어 동북지역 4위 소비시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주민들의 소비능력 향상에 따라 고급 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 베이징, 상하이 등 1선 도시와 비교하면 소득수준이 낮은 편이지만, 주민들의 소비성향이 높게 나타나 소득의 상당 부분을 소비에 쏟고 있음.

   - 시민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녹색 식품ᆞ스포츠 용품 등 소비자들의 건강을 돕는 웰빙제품의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보임.

 

  ㅇ 장춘은 예전부터 조선족 집중지로서 한국과 지리적ᆞ문화적으로 친근해 한국제품에 대해 비교적 높은 관심을 보임

   - 특히 한국 식품에 대해 호감을 보이고, 한국 식품은 믿을 수 있으며 깨끗하다는 인식 역시 퍼져 있기 때문에 우리 식품기업의 진출에 비교적 유리한 지역임.

 

장춘시 유통업 관계자 인터뷰

  자료원: KOTRA 선양무역관 자체 진행

 

 

자료원: 长春统计年鉴, 吉林省人民政府新闻办公室,新文化报, CEIC,百度文库, RET睿意德, KOTRA 선양무역관 자료종합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상하이 홍차오-푸동공항 급행열차 9월..
  2. 韓 배터리 공장 화재로 중국인 17명..
  3. 동방항공, 당일 취소해도 ‘전액 환불..
  4. 中 ‘세포배양육 쌀’ 개발 성공.....
  5. 가격 ‘뚝’ 떨어진 마오타이주, 여기..
  6. 中 쑤저우서 셔틀버스 기다리던 일본인..
  7. [김쌤 교육칼럼] 다시 진로교육을 생..
  8. [차이나랩] 中 유니온페이, 위챗 결..
  9. 中 전기차 충전소 1000만 대 육박..
  10. 中 올해 1분기 결혼·이혼 모두 감소..

경제

  1. 가격 ‘뚝’ 떨어진 마오타이주, 여기..
  2. [차이나랩] 中 유니온페이, 위챗 결..
  3. 中 전기차 충전소 1000만 대 육박..
  4. 中 올해 1분기 결혼·이혼 모두 감소..
  5. 中 인공지능 기업 4000개, 핵심..
  6. 화웨이가 개발한 홍멍(鸿蒙), 中 2..
  7. 中 택배사, ‘618’ 업고 5월 물..
  8. 中 세계 최초 주1회 인슐린 사용 승..
  9. 추락하던 마오타이, 가격·주가 일제히..
  10. 中 일주일새 시골 은행 40곳 줄어…..

사회

  1. 상하이 홍차오-푸동공항 급행열차 9월..
  2. 韓 배터리 공장 화재로 중국인 17명..
  3. 동방항공, 당일 취소해도 ‘전액 환불..
  4. 中 ‘세포배양육 쌀’ 개발 성공.....
  5. 中 쑤저우서 셔틀버스 기다리던 일본인..
  6. 상하이, 5월 유행 전염병 1위 ‘백..
  7. 中 여성에 수면제 먹인 뒤 성폭행한..
  8. 쑤저우 셔틀버스 칼부림 막은 中 여성..
  9. 만원클럽, 2년간 장학금 132만元..
  10. 上海 한국 미술인들 '상해한국미술협회..

문화

  1. [책읽는 상하이 243] 줄리언 반스..

오피니언

  1. [무역협회] 인도의 중국 '디커플링'..
  2. [김쌤 교육칼럼] 다시 진로교육을 생..
  3. [상하이의 사랑법 14]사랑이 식었을..
  4. 2024 화동조선족주말학교 낭송·낭독..
  5. [무역협회] 신흥 산업 발전, 중국이..
  6. [금융칼럼] 중국银联 ‘유니온페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