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상하이 초보 길라잡이2>-이제 은행예금도 맞춤 관리할때

[2008-04-01, 03:03:06] 상하이저널
최근 중국 은행예금 금리가 제법 많이 올라있다. 특히 요즘에는 주식, 부동산 투자열이 식으면서 은행예금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이때 은행예금의 종류를 파악하고 자신에 알맞은 예금상품으로 맞춤 관리를 해준다면 좀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보통예금(活期储蓄存款)과 정기예(적)금(定期储蓄存款) 두 가지가 있다. 보통예금은 수시로 입출금 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금리가 낮다. 정기예(적)금은 매월 일정한 돈을 은행에 넣어 목돈을 마련하는 정기적금(零存整取)과 큰 돈을 일정기간 맡겨두고 빼지 않는 정기예금(整存整取) 두가지로 나뉜다. 한국과는 달리 은행마다 중앙은행에서 발표한 기준금리를 적용하기 때문에 굳이 여러 은행에서 금리를 확인, 비교하지 않아도 된다.


1. 보통예금(活期储蓄存款 )

예입과 출금을 수시로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으나 연금리가 0.72%로 낮다.


2. 정기예금(整存整取 zh?ng cun zh?ng q?)

목돈을 예치하고 정해진 기간이 만기되면 원금과 이자를 함께 돌려받는다. 정기예금 최소 금액은 50위엔이며, 기간은 3개월~5년이며 6개 종류로 나뉜다. 연금리는 3.33~5.85%이다.


3. 정기적금(零存整取)
정기적금 기간은 1년, 3년, 5년 세가지가 있고 매달마다 일정한 금액을 예치 후 기간이 만기 되면 원금과 이자를 함께 계산해 받는다. 연금리는 3.33~4.14%이다.


4. 정기·보통 예금을 한번에(定活两便 )

보통예금과 정기예금의 장점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출금이 자유롭다. 보통예금처럼 은행에 돈을 예치해 두고 있으면 예치기간에 따라 보통예금금리 혹은 정기예금 금리가 적용된다. 예로, 예치기간이 3개월 이내의 경우 보통예금 금리가 적용되나 3개월이상~6개월 미만의 경우 3개월 정기예금(整存整取) 연금리의 60% 금리가 적용된다. 평소 예상외의 지출에 대비해 돈을 예치하고 있을 경우 적합한 예금이라 할 수 있다.


5. 원금예치 이자인출(存本取息 )

일차적으로 원금을 예치하고 수차에 나누어 이자를 인출하는 방식으로, 기한이 만기되면 원금을 찾게 된다. 5천위엔이상 예금해야 하며 기간은 1년, 3년, 5년 세가지가 있으며 연금리는 3.33~4.14%이다. 이자 인출 횟수는 사전에 약정해 둔다. 기간 만기이전에 원금을 찾을 경우 보통적금 금리가 적용되며 이미 인출된 금리도 공제된다.


6. 사전통보 예금(个人通知存款 )
현금 인출 시 약정된 기한 내에 인출 날짜와 금액을 은행에 사전 통보하는 방식으로 최소 5만위엔이상 혹은 5만위엔 상당의 외국환을 예치해야 한다. 원금은 한번에 인출하거나 여러번에 나누어 인출할 수 있다.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2. 上海 허촨루역 출근길 칼부림…3명 부..
  3.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4. 순환 열차로 떠나는 장삼각 여행지
  5.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6. 상하이, 내일부터 장마 시작…올해 강..
  7. 상하이 부동산 新정책 이후 첫 연휴…..
  8.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9.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10.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경제

  1.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2. 상하이, 내일부터 장마 시작…올해 강..
  3. 상하이 부동산 新정책 이후 첫 연휴…..
  4. 샤오미 전기차 판매량 ‘뚝’…신세력..
  5. 中 70개 도시 5월 부동산 가격 공..
  6. 中 2023 대졸생 평균 월급 115..
  7. 미국 상장 중국 온라인 교육 앱 51..
  8. 알리페이, 콘텐츠 이용자 8배 급증…..
  9. 中 5월 CPI 전년비 0.3%↑
  10. 업계 경쟁 심화에 CATL 주6 13..

사회

  1. 上海 허촨루역 출근길 칼부림…3명 부..
  2.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3.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4.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5.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6.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7. 벌써? 中 작년보다 40도 넘는 속도..
  8. 상하이 宜山路역 ‘찜통’ 환승통로 무..
  9. 中 딥페이크로 학생·동료 나체사진 7..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3. [책읽는 상하이 242] 나인
  4. ‘상하이 호반 국제 뮤직 페스티벌’..

오피니언

  1.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2.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3.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4.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5. [무역협회] 인도의 중국 '디커플링'..
  6. 2024 화동조선족주말학교 낭송·낭독..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