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비재 시장, 인기있는 상품
- 소비재 수입 증가속도 평균 28.2%, 폭풍성장 중 –
- 가구·의류·광학·의료·검사기기 수입량 한국제품이 주로 차지 –
□ 중국 대외무역 현황
○ 소비재 수입 전폭 확대 실시
- 2011년 중국의 전체 화물 수입규모는 1조7400억 달러로 이미 세계 2위의 자리를 차지함. 상무부는 12.5(2011~2015 개발계획)기간에 중국 화물수입규모는 8조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며, 세계 수입 대국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발표함.
- 올해 9월 7일, 중화인민공화국 상무부 대외무역사(中華人民共和國商務部對外貿易司)의 발표에 따르면 2012년 총체적인 경제 불황으로 대외무역의 증가속도는 소폭 하락추세였으나, 중국 소비재 수입은 뚜렷한 증가를 보임.
- 2012년 1~7월 중국 소비재 수입은 660억 달러를 기록해 동기대비 25.3% 증가했고, 이는 동기 수출 증가폭을 훨씬 뛰어넘는 수치임.
- 상무부는 앞으로 수출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함과 동시에 소비재 수입을 전폭 확대할 계획이며, 특히 대량 수출 상품의 수입 규모를 확대하겠다고 밝힘.
□ 중국 소비재 수입 현황
○ 전체 화물수입 중 소비재 수입비중 날로 커져
-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소비재 수입액 증가속도는 평균 28.2%으로 전체 화물 수입액 평균 증가속도인 22.4%를 뛰어넘으며 빠른 성장을 보임.
- 중국 전체 화물 수입액에서 소비재 수입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적으나, 소비재 절대 수입액이 날로 증가해 그 비중 역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임. 이는 중국 소비자들의 수입상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확대되며 수입 소비재 잠재구매력이 실질구매력으로 발전한 것임.
- 중국 소비재 수입의 절대 금액은 매년 성장하는 추세로,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음.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 소비재 수입액 평균 증가속도는 31.0%에 달할 정도로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으며, 2008년 수입액은 1298억 달러에 달해 2001년의 5배를 뛰어넘음.
- 2009년 소비재 수입 시장은 1193억 달러로 동기대비 8.1%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0년에는 1741억 달러를 기록하며 동기대비 45.9%의 성장을 이룸.
2001~2010 중국 소비재 수입액 및 수입비중 변화 추이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UN COMTRADE
○ 소비재 수입구조: 중·고급 소비재 수입 비중 커
- 세계관세기구(WCO)가 규정한 '상품명칭 및 HS코드 국제협약'에 의거해 대외무역 상품의 주요 소비재는 26종으로 나뉨.
- 중국의 주요 소비재 수입 품목은 ‘광학·의료·검사기기, 자동차, 귀금속, 시계, 가구 및 침구, 장난감, 의류, 음료 및 주류’로 이 품목들의 수입액이 전체 수입액의 95%를 차지함.
- ‘2010년 중국 수입 소비재 품목별 수입비율’에 따르면, 중국 수입 소비재 시장에서 50% 이상을 광학·의료·검사기기가 차지하고, 28%는 자동차가 차지함. 그 뒤를 이어 귀금속이 6%, 식품·담배류는 4%, 그 외에 품목들은 1~2%에 그침.
자료원: UN COMTRADE
○ 소비재 수입시장, 대세 상품
- 최근 몇 년간 전체 소비재 수입액에서의 광학·의료·검사기기 수입액 비중이 다소 하락한 추세였으나 여전히 소비재 수입 구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장난감과 게임기 등의 완구류 수입액 역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0.6% 소폭 하락함.
- 자동차, 귀금속, 가구의 수입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함. 그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증가를 보인 품목은 자동차로 2007년 19.7%에서 2010년 28.4%로 10% 가까이 성장함.
- 일용화학용품(화장품), 시계, 의류, 음료 및 주류의 수입 비중은 큰 변동이 없이 유지됨.
- 중국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의료기기, 자동차, 귀금속, 시계 등의 중·고급 상품의 수입 비율이 비교적 높고 일용화학용품, 식품, 의류 등 수요의 소득탄력성(한 재화나 서비스에 있어서 소비자의 소득이 변화했을 때 그것이 그 재화나 서비스의 수요량에 어떤 변화를 주는가를 보여 주는 비율)이 비교적 낮은 소비재의 수입 비율은 낮음.
- 이는 중국 국민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전체적인 소비구조의 발전에 의한 것임.
중국 주요 수입 소비재 수입 비율 변화 추이
(단위: %)
HS 코드 |
상품 명칭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90 |
광학·의료·검사 기기 |
61.9 |
59.9 |
56.1 |
51.7 |
87 |
자동차 |
19.7 |
20.8 |
23.8 |
28.4 |
71 |
귀금속 |
5.6 |
5.8 |
5.5 |
6.2 |
34 |
일용 화학용품 |
1.7 |
1.7 |
1.7 |
1.6 |
91 |
시계 |
1.3 |
1.4 |
1.3 |
1.3 |
94 |
가구 |
1.2 |
1.2 |
1.5 |
1.8 |
95 |
완구 |
1.2 |
0.9 |
0.9 |
0.6 |
62 |
의류 |
0.9 |
0.9 |
0.9 |
0.8 |
22 |
음료 및 주류 |
0.8 |
0.9 |
0.9 |
0.9 |
자료원: UN COMTRADE
○ 선진국에서 수입된 소비재, 중국 소비시장 발전 기여
- 중국의 소비재 주요 수입국은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벨기에, 스위스, 일본, 한국, 태국, 필리핀,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등 국가로 대부분 선진국 위주로 수입함. 선진국가의 발달된 생산기술과 관리수준, 소비이념 등을 중국으로 들여와 중국의 소비시장과 생활 수준도 향상됨.
- 저개발국가 혹은 개발도상국으로부터의 소비재 수입은 미미함.
○ ‘가구·의류·광학·의료·검사기기’부문 수입, 대부분 한국 제품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부문은 광학·의료·검사기기, 가구, 의류임.
- 이외에 자동차 주요 수입국은 독일, 귀금속 주요 수입국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시계 주요 수입국은 필리핀, 완구 주요 수입국은 일본, 음료 및 주류의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가 차지함.
중국 주요 소비재 수입국 및 수입 비율
상품명칭(HS코드) |
수입국 |
수입 비율(%) | |
광학·의료·검사 기기(90) |
한국 |
25.7 |
|
일본 |
15.8 | ||
미국 |
7.8 | ||
가구 및 침구(94) |
한국 |
22.5 |
|
일본 |
15.0 | ||
독일 |
13.0 | ||
의류(61) |
이탈리아 |
13.9 |
|
홍콩 |
10.1 | ||
한국 |
7.7 |
자료원: UN COMTRADE
□ 중국 소비시장 전망
○ 2015년 까지 소비재 판매액 32조 위안 목표
- 중국 국무원(中國國務院)이 얼마 전 발표한 ≪국내무역발전 12.5계획≫에 따르면, 2015년까지 사회 소비재 판매액을 32조 위안 달성할 계획이며 연평균15%의 성장을 목표로 함.
- 12.5 계획에서는 소비 촉진을 중국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새로운 정책으로 삼았고, 국가 각 부문들이 소비 촉진을 위한 여러 정책 및 세칙들을 준비·시행 중임.
- 중국의 소비촉진정책들로 인해 중국 소비시장은 앞으로 더욱 성장할 전망이며, 소비재의 수입 시장 역시 대대적으로 확대될 전망임.
□ 시사점
○ 한국이 공략해야 할 중국 소비재 시장
- 현재 한국의 수출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소비재 품목은 가구, 의류, 광학·의료·검사기기부문으로 향후 수출 확대를 위한 방안 강구 필요
- 현재 중국 소비재 시장에서 수입이 점차 확대되는 자동차, 귀금속, 가구 부문의 한국기업 수출방안 강구 필요
○ 한국기업 진출전략
- 한국의 가구시장은 중국 및 아시아 지역에 무궁한 잠재력을 가짐. 한국 가구에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생활습관과 미적 감각이 반영돼 있어 작고 정교하며 유행 및 실용성까지 갖춤. 이는 유럽식 혹은 중국식 가구와 비교했을 때, 더 깔끔하고 실용적이며 지나치게 크지 않되 섬세하게 제작돼 동양인의 체형에 알맞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짐. 한국기업들은 이러한 한국 가구만의 특색을 살려 중국 가구시장 진출이 요구됨.
- 한국의 의료기기산업 수출은 점차 확대됨. 특히 성형외과부분에서의 의료기기 및 설비, 기술 등은 중국에서 큰 인정을 받음. 한국의 발달된 의료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광학·의료·검사기기의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임.
- 한국 의류는 중국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한국산 소비재 중 하나임. 중국 소비재 시장에서 한국으로부터의 의류 수입 비중이 눈에 띄게 확대되는 것은 아니나 꾸준한 수입을 오랫동안 유지하며 중국에서 가장 인정받는 한국 상품 중에 하나임. 하지만 현재 중국시장에 진출한 한국 의류에 대해 얼마 전 실시된 품질검사에서 50%만이 품질검사에 합격하는 결과를 보임. 따라서 한국 의류의 품질 향상 및 수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자료원: UN COMTRADE, 百度, 中華人民共和國商務部, 코트라 다롄 무역관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Today 핫이슈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