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한국 온라인쇼핑VS중국 온라인 쇼핑 1

[2013-08-14, 15:01:25] 상하이저널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45]
한국 온라인쇼핑VS중국 온라인 쇼핑 1
 
전자상거래 발전이 지속적으로 가속화 되면서, 전통적인 비즈니스모델과 생산 유통 방식의 패턴, 자원배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해의 오프라인 백화점들이 피팅룸으로 전락했다는 기사도 쉽게 만나볼 수 있을 정도로, 중국 온라인 시장은 커졌고, 더욱 커져가고 있다.

중국 전자상거래 연구중심에서 최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2년말까지 전자상거래시장의 거래액 6만억위엔에 달하고, 이 규모는 전년 대비 33% 신장한 규모라고 발표했다. 또한 전자상거래 시장의 GDP비중이 이미 15%를 초과했다고 발표했으며, 2013년에는 사회소비 소매거래액 중 개인들이 구매한 전자상거래 시장의 점유비가 7.7%에 달하며,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고객이 3.1억명이 될 것이라고 한다.
이미 큰 성장을 경함한 한국의 온라인쇼핑과, 중국의 온라인쇼핑의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보자

1. 타오바오 독주

- 해도해도 너무 과도한 과점이다. 淘宝网taobao.com과 티몰(天猫 이하 TMALL)을 합산한 마켓쉐어가 80%수준이다.
- 淘宝网taobao.com은 가짜, 짝퉁, 밀수 모두 유통가능한 C2C시장의 개방성으로 시장을 키운 후 온전한 정품을 취급하는 TMALL시장 런칭 후 성공시켰다(2012년 전체 매출액 중 18%가 TMALL의 매출)
- 철저한 고객 중심, 신속한 판매자 대금결제 주기(고객 상품 수령 후 최대 10일이내 상품판매 대금이 판매자 계좌로 입금됨)로 고객과 판매자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2. TMALL.com天猫 플랫폼의 특성

- 인지도 있는 브랜드라면 TMALL입점은 독립적 브랜드 사이트 운영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유니클로는 uniqlo.tmall.com, 라네즈는 laneige.tmall.com, 빈폴이라면 beanpole.tmall.com으로서, 해당 브랜드 사업자 이외의 사업자는 이런 도메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 독자적인 메인화면과 고객관리정책, 배송비정책 운영이 가능하다.
- 따라서 상대적으로 인지도 있는 브랜드라면 한국과 달리 종합쇼핑몰, 카테고리킬러 전문쇼핑몰에 입점해야 할 필요성이 낮기 마련이다.

3. 결제

- 한국의 신용카드 거래 비중은 50%를 상회하는 반면, 중국 온라인 쇼핑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당사의 경우 1% 미만)
- 대부분의 고객은 전자화폐(支付宝,块钱 등) 를 사용하며 본인 계좌에서 전자지갑에 돈을 충전 후 사용한다.
- 일부 쇼핑몰 京东商城경동상성의 경우 COD 货到付款(상품 배달시 돈을 받는 배송정책)을 차별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이 방식을 선호하는 고객은 나날이 줄어들고 있다.

4. 물류

- 저가에서 고가까지 서비스별 택배사가 포진되어 있으며, EMS의 경우 중국 전역 배송을 지원한다.
- 상품 판매자들이 모두 재고를 눈밑에 두고, 주문이 들어오면 바로바로 당일 출고하기에, 도시 거주자라면 판매자 위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오늘 주문하면 내일은 물건을 받아볼 수 있다.
 
한국 KT그룹에서 94년부터 2010년까지 온라인 쇼핑 업무를 했다. 2019년까지 중국EC전문기업 에이컴메이트에서 TMALL한국관, 브랜드운영대행 사업을 총괄했다. 현재는 Global Success Partner  카페24주식회사에서 전자상거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jessicasong@cafe24corp.com
Jessica@accommate.com    [송종선칼럼 더보기]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2. 上海 허촨루역 출근길 칼부림…3명 부..
  3.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4. 순환 열차로 떠나는 장삼각 여행지
  5.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6. 상하이, 내일부터 장마 시작…올해 강..
  7. 상하이 부동산 新정책 이후 첫 연휴…..
  8.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9.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10.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경제

  1.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2. 상하이, 내일부터 장마 시작…올해 강..
  3. 상하이 부동산 新정책 이후 첫 연휴…..
  4. 샤오미 전기차 판매량 ‘뚝’…신세력..
  5. 中 70개 도시 5월 부동산 가격 공..
  6. 中 2023 대졸생 평균 월급 115..
  7. 미국 상장 중국 온라인 교육 앱 51..
  8. 알리페이, 콘텐츠 이용자 8배 급증…..
  9. 中 5월 CPI 전년비 0.3%↑
  10. 업계 경쟁 심화에 CATL 주6 13..

사회

  1. 上海 허촨루역 출근길 칼부림…3명 부..
  2.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3.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4. 지금 상하이에서 가장 핫한 곳? 바로..
  5. 중국, 호주 국민에 ‘무비자’ 입국..
  6.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7. 벌써? 中 작년보다 40도 넘는 속도..
  8. 상하이 宜山路역 ‘찜통’ 환승통로 무..
  9. 中 딥페이크로 학생·동료 나체사진 7..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3. [책읽는 상하이 242] 나인
  4. ‘상하이 호반 국제 뮤직 페스티벌’..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3.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4.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5.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6. [무역협회] 인도의 중국 '디커플링'..
  7. 2024 화동조선족주말학교 낭송·낭독..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