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전공탐색 ①] 중어중문학과, 언어•문학•역사를 통달한 중국 전문가로!

[2021-11-05, 22:42:31] 상하이저널
중국에 오랜 기간 거주한 학생들 중에는 중어중문학과 진학을 고려 중인 학생들이 꽤 있다. 인터넷 정보를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모았다.

중어중문학과란

중문과라고 불리는 이 학과는 정확히 중어중문학과이다. 말 그대로 중국 어학 및 중문과에 대해서 배우는 학과이다. 어문계열 쪽으로 속한다. 기본적으로 중국어, 문학, 역사에 대해 연구한다. 90년대는 다른 인문계열 학과들과 마찬가지로 처지가 처량했지만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중국의 급부상과 같이 부상한 학과 중 하나이다. 다른 학과도 마찬가지이지만 실용적인 중국어에 대한 강의는 적은 편이니 중국어를 배우고 싶다면 무리하게 복수 전공을 하기보다는 학원이나 과외를 통해 기초를 먼저 배울 것을 추천한다.

중문과는 무엇을 배우나

①실용중국어 
많은 학생들이 이것을 바라고 중문과에 들어오고, 거의 대부분의 타 학과생들이 이것을 바라고 중문과 수업을 듣는다. 이 때문에 실용중국어의 비중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1~4학년까지 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편제돼 있으며, 각 학교마다 다른 교환학생 타이밍을 기점으로 난이도가 날뛰는 경향이 있으니, 타 학과생들은 중문과 학생들이 몇 학년에 주로 교환학생을 떠나는지 잘 알아보고, 교환학생 다녀온 다음 학년에 편제된 중국어 과목은 되도록 피하도록 하자. 근데 교환학생 갔다 온 애들이 1~2학년 과목 듣는 경우도 적지는 않다. 

사실 1~2학년 수업도 학점 따기 쉬운 편은 아니다. 보통 정원이 40명 안팎인 수업에 특기자 출신 학생 5명 이상, 교환학생 출신 2~3명 가량이 껴 있다고 한다.

②중국 어학 
•음성학: 
고대와 현대 표준 중국어의 음성, 음운 규칙에 대해서 배우는 학문이다. 국제음성기호, 사이 고음, 중고음 등을 학습하며, 어떻게 하면 정확한 중국어 발음을 낼 수 있을까? 혹은 옛날 중국 사람들은 어떻게 중국어를 발음했을까? 가 궁금하다면 들어보도록 하자. 그뿐만 아니라 중국어에 속해있는 여러 방언들의 음성 및 음운 규칙 역시 수박 겉핥기 정도이지만 배울 수 있다. 이를 통해 중국어 방언 간 음운 비교 역시 가능하다. 보통 중국어 음성학과 중국어 음운학이 있으며 그 차이점은 음성학은 음성에 대한 객관적 기술과 분석, 분류의 학문이라면 음운론은 음성들 중에 어떤 음성들이 언어적으로 유효한 것이며, 각 음성들 간의 관계, 그리고 그 관계를 지배하는 규칙은 무엇인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문자학: 
한자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이다. 자체의 변천과 한자의 기원에 대해서 학습한다. 육서(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와 갑골문, 금문, 전국 문자 등 고대 한자들에 대해서 배우게 배우게 된다. 보통 한자학, 현대 단자론 정도가 있다. 한자학에서는 간화자 이전의 한자를 다루며, 연대한 지론에서는 보통 지금의 간화자에 대한 연구를 다루게 된다.

•문법학: 
고대한 어문법과 현대한어 문법으로 나눌 수 있다. 고대한 어문법은 고대 중국어의 문법을 배우고 고전을 해석하는 과목이고, 현대한어 문법은 실용중국어에 가까운 과목으로 중국어 문법에 대해서 배우는 과목이다.

③중국문학
•중국 고대문학: 
고대 하(夏)나라부터 근대 1911년 신해혁명 이전까지의 중국 문학. 논어, 공자, 맹자, 장자 등의 산문과, 시경, 이백, 두보 등의 운문, 구양수, 소식 등의 사, 삼국지연의, 수호전, 홍루몽 등의 소설을 배우고, 해석하고, 외우게 된다. 분량도 가장 많고, 가장 중요하며, 가장 비중이 큰 파트이다. 철학, 역사, 문학을 모두 아우르는 인문학의 정수이자, 실용을 중시하는 요즘 많은 학생들이 싫어하는 파트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국과 중국어에 있어서 중국 고대문학이 끼치는 영향은 타 언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고 깊기 때문에 중국과 중국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싶다면 열심히 공부하도록 하자. 물론 일부 내용이 한문학과와 겹친다.

•중국형 당대 문학: 
근대 1910년대부터 현대 1945년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이전까지의 현대문학, 그 이후부터 현재까지에 이르는 당대 문학에 대해 배우는 학문. 루쉰(魯迅), 저우줘런(周作人), 쉬즈모(徐槱森), 장아이링(张爱玲), 모옌(莫言) 등 작가들의 작품을 읽고, 원문을 해석하며 학습하게 된다. 중국현대문학의 특성상 1919년 신문화운동으로 인해서 문어체보다는 구어체를 많이 이용한 탓에 산문보다 운문의 비중이 타 언어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

•중국 문화/중국사: 
하은주 중국 고대사부터 청말기 중화인민공화국 성립까지 근현대사를 배운다.

•중국 문화: 
중국의 지리, 민족, 음식, 기념일 등 각종 문화에 대해 배운다.

•중국 사상: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와 후대 유학을 통해 발전한 중국 고대 철학에 대해 배운다.

•중국어 교육과: 
예전에는 공주사대를 위시한 일부 대학에 중국어 교육과가 있었지만, 전부 중어중문학과로 개편해서 교직이수로 만 교사 자격 취득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2015년 한국교원대학교 그리고 2016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범대학에 설치되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 교육과는 2022년 부로 외국어교육학부 중국어 교육 전공으로 격하된다. 

이 외에 각 수업마다 초-중급 중-한 번역(강독/선독), 중국어 문법/작문 등을 배울 수 있다.

중문과 진학하려면

12년 특례일 경우 내신성적 위주로, 3년 특례일 경우 공인시험 성적을 본다. 당연한 얘기지만 HSK 점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유리하다 다른 중국어 관련 자격증이 있다면 더욱 우세하다.

중문과 졸업 후 진로는

•통/번역을 하는 직업
•중국어 강사
•복수 전공을 상경계열로 선택하여 해외 마케팅/무역
•중국 현지 기업 취직
•공항 면세점, 명품관, 호텔, 대사관, KOTRA 등
 
중국 관련 학과

•서강대 중국문화전공학과
-영화와 현대 중국, 한중 문화사업과 문화 콘텐츠, 중국 고대 통사 등
-베이징대, 칭화대와 현지학점이수제도, 교환학생 프로그램

•한국외국어대 중국외교통상학과
-중국학개론, 중국철학의 이해, 한중미 관계연구 등
-중국의 외교·통상·법규·정책·실무 과정을 대폭 특화

(참고자료: 나무위키, 네이버 지식백과 등)

학생기자 박승원(진후이고 12)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중국 배우, 태국 촬영 후 연락두절…..
  2. [선배기자 인터뷰] 경계없는 ‘자유전..
  3. [허스토리 in 상하이] 상하이 대관..
  4. 2024 중국 10대 소비 트랜드…..
  5. 中 독감 환자 중 99%가 ‘A형’…..
  6. 알리바바, 다룬파 모회사 가오신유통..
  7. [Delta 건강칼럼] 감기 후 쉽게..
  8. 中 올해 경제 5.0% 목표... "..
  9. "금요일 퇴근 후 중국" 한국 관광객..
  10. 中 영화 관객 3억 명 줄었다… 지난..

경제

  1. 2024 중국 10대 소비 트랜드…..
  2. 알리바바, 다룬파 모회사 가오신유통..
  3. 中 올해 경제 5.0% 목표... "..
  4. 中 영화 관객 3억 명 줄었다… 지난..
  5. 中 올해 신에너지차 판매량 1650만..
  6. 아이폰 중국서 또 가격 인하… 100..
  7. 지리, 2025년 신차 5종 출시…2..
  8. 화웨이, 삼중 접이식 스마트폰 개발..
  9. 中 늘어가는 SNS ‘실버 세대’ ,..
  10. 中 자동차 기업 춘절 전 ‘보조금’..

사회

  1. 중국 배우, 태국 촬영 후 연락두절…..
  2. 中 독감 환자 중 99%가 ‘A형’…..
  3. "금요일 퇴근 후 중국" 한국 관광객..
  4. 중국인 IQ 세계 1위! 한국은 3위..
  5. 中 6개 대학에 ‘저고도 경제’ 전공..
  6. 징동그룹 회장의 ‘고향사랑’… 스승들..
  7. 태국서 납치된 中 배우, 나흘 만에..
  8. 中 독감·HMPV 환자 급증에 아동병..
  9. 작년 상하이 찾은 외국인 ‘600만..
  10. 韩 2025 달라지는 것들

문화

  1. [허스토리 in 상하이] 상하이 대관..
  2. 북코리아 2025년 1월 추천 도서
  3. [책읽는 상하이 265] 우리는 비..
  4. [책읽는 상하이 266] 발자크와 바..
  5. [책읽는 상하이 266] 발자크와 바..

오피니언

  1. [상하이의 사랑법 20] 문장 안의..
  2. [Jiahui 건강칼럼] 겨울에 흔한..
  3. [중국인물열전 ③] 현대미술의 대가,..
  4. [박물관 리터러시 ⑥] 저장성박물관..
  5. [허스토리 in 상하이] 뮤링정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