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사람들은 제각각 자신 속에 페스트를 지니고 있다”

[2020-04-22, 17:31:16] 상하이저널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 La Peste>



“전염병이 퍼진다. 사람들이 죽어나간다. 모든 사람들은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무기한 격리 조치를 명령받는다. 자기가 영웅인 척 행동하는 사람들과 인간성을 잃고 행동하는 사람들이 동시에 공존한다. 자신만 생각하며 행동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자신의 생존을 넘어선 원대한 선을 행하기 위해 행동하는 사람들도 있다. 사람들은 매우 불안정하고 또한 매우 불합리하다.”

소설 <페스트>가 묘사하고 있는 상황이다. 알베르 카뮈가 1947년 출판한 고전 소설이다. 현재 새로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책이기도 하다. 알베르 카뮈는 자신의 쌍둥이 자식들에게 장난스럽게 ‘전염병(Plague)’과 ‘콜레라(Cholera)’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는데, 그 중 딸 캐서린은 영국의 유명 언론사 ‘더 가디언’에 “소설 <페스트>가 전하는 메시지는 과거에도 그랬듯이 현재에도 진실되게 전달되고 있으며 미래에도 그럴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책 속에 “이 세상에는 전쟁만큼이나 많은 페스트가 있어 왔다”라는 문장이 있다. 바로 다음 이어진 구절인 “그러면서도 페스트나 전쟁이나 마찬가지로 그것이 생겼을 때 사람들은 언제나 속수무책이었다"라는 현대 독자들에게는 조금 구식 얘기라고 느껴지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전염병 위험은 줄고 전쟁 위험이 높아진 현재에도, 최근 사태를 보면 여전히 우리의 현재 상황과 부합되고 있다. 이는 1947년 소설이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에 말을 걸고 있는 여러 장치 중 하나에 불과하다.



소설 <페스트>는 알제리 출신의 주인공이자 의사인 ‘베르나르 리외’가 자신의 문 앞 계단에서 죽은 쥐를 찾아내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는 갑작스럽게 어딜 가든지 죽은 쥐, 혹은 살아있는 쥐를 보게 된다. 그 지역 사람들이 전염병으로 인해 하나둘씩 서서히 죽어 나가게 되는 도중에, 무능력한 정부에선 그저 모두에게 집에 가만히 있을 것을 명령한다. “그렇게까지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라는 말을 라디오에 나와 얘기하는 전문의와 그와 대비되는 악화되기만 하는 상황. 전염병은 점점 더 그 지역을 잠식한다.

운 좋게도 현재 우리가 싸우고 있는 바이러스는 책 속의 <페스트>만큼 치명적이지 않다. 1947년 출간된 이 책이 요즘 독자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그저 등장인물들이 하나 둘씩 죽어간다는 단순한 내용이 아니라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묘사에 있다. 카뮈는 전염병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지역이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사람들의 감정을 “저마다 하늘 아래 감금당한 죄수가 된 느낌”으로 표현한다. 또 주인공은 “절망에 습관이 들어 버린다는 것은 절망 그 자체보다 더 나쁜 것이라고 할 수 있었다”라고 말하며 인간의 무기력함에 대해 언급한다.



그렇게 마지막 페이지까지 읽다 보면 책임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금 느끼게 된다. 개개인의 행동들이 한데 모여 지금 현재를 구성하고 미래를 건설해 나간다. 물론 현재 상황은 개인, 지역, 혹은 국가의 책임이라 할 수 없지만, 현재의 상황을 타파하려 노력하지 않는다면 그 책임은 우리에게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각자 모든 사람들이 갖고 있는 불확실한 미래와 그에 따른 책임을 인정하고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 주인공의 대사, “사람들은 제각각 자신 속에 페스트를 지니고 있습니다”가 시사하는 바가 아닐까 싶다.

학생기자 유영준(상해중학 11)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봄바람 솔솔, 즐거운 콧바람 상하이 나들이 추천 hot 2020.04.29
    오랫동안 움츠리고 지냈던 몸과 마음이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다. 어디든 잠깐 콧바람이라도 쐬고 싶은 따뜻한 봄날씨 '탓'이다. 얼굴을 어루만지는 봄 바람을 한껏..
  • 코로나가 쏘아올린 5G hot 2020.04.23
    코로나가 다시 불러온 5G에 대한 관심코로나 사태로 인해 전 세계에서 자택 근무와 온라인 수업을 포함해 대부분의 사회, 문화, 경제활동이 온라인에서 이뤄지고 있다..
  • [원작 vs 영화] ③ 살인자의 기억법 2020.04.22
    책과 영화는 가까우면서도 멀리 떨어진 두 가지의 매체이다. 같은 언어 예술의 범위 안에 들지만, 스토리텔링과 몰입에 있어서 이용하는 장치들의 차이가 극명하게 존재..
  • 中 올해 노동절 연휴 비행기값 30% ‘뚝’ hot 2020.04.22
    5일간의 노동절 황금 연휴를 앞두고 폭등해야 할 항공권 가격이 오히려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22일 중국신문망(中国新闻网)은 알리바바 산하 온라인 여행..
  • 中 개학 우려에 ‘사스 영웅’ 중난산이 나섰다 hot 2020.04.22
    개학을 앞두고 중국 각지에서 학생들의 감염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자 중국 ‘사스 영웅’ 중난산 원사를 비롯한 코로나19 전문가들이 당국의 개학 결정을 지지한..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3.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4.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5.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6.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7.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8.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9.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10.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경제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3.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4.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5.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6.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7.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8.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9. 中 단오절 연휴 1억 1000명 여행..
  10.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사회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3.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4.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5.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6.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7.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8.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9. SHAMP 제17기 입학식 개최 "주..
  10.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3.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4. [책읽는 상하이 242]나인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중국 세무회계 칼럼] Q&A_ 중국..
  3.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4년..
  4.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5.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6. [Jiahui 건강칼럼] 무더운 여름..
  7. [무역협회] 韩, 왜 해외직구를 규제..
  8.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9.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10.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