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사이시옷은 언제 쓰나? (1)

[2016-04-24, 15:28:59] 상하이저널

[우리말 이야기⑰]
사이시옷은 언제 쓰나?

 

(1)써야 하는 경우

사이시옷은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날 때 씁니다. ‘사잇소리 현상’이란 “두 말을 합쳐 복합명사를 이룰 때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가 되거나 두 말 사이에 ‘ㄴ’ 발음이 덧나는 현상”을 뜻합니다. 그러나 한글맞춤법에 사이시옷 규정이 있다 하더라도 일일이 다 기억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때로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지 알쏭달쏭한 말도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사람들뿐 아니라 저처럼 수십 년 동안 우리말을 이리저리 살펴가며 써 온 사람들조차 종종 헷갈리곤 합니다.

 

그러나 기껏 우리말 이야기를 꺼내 놓고 사이시옷을 다루지 않을 수는 없기에 좀 복잡하더라도 지금부터 세 번으로 나누어 사이시옷을 다루려고 합니다.

 

먼저 사이시옷을 써야 하는 경우를 알아봅시다.

 

1. 사이시옷은 먼저 순우리말끼리 어울린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가 될 때 씁니다.
보기) 귓밥, 콧대, 나룻배, 냇가, 바닷가, 윗글, 윗집, 아랫집, 국숫집, 맷돌, 모깃불, 못자리, 부싯돌, 잿더미, 햇볕, 햇살, 혓바닥, 혓바늘, 보랏빛, 고깃국, 순댓국, 선짓국, 김칫국, 빨랫줄, 촛불 

 

㉡ 뒷말의 첫소리 ‘ㄴ’이나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붙여 날 때 씁니다. 

보기) 윗니, 아랫니,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빗물, 콧물, 콧날

 

㉢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연달아 날 때 씁니다.  

보기) 뒷일, 옛일, 베갯잇, 깻잎, 나뭇잎

 

2. 다음으로 순우리말과 한자어, 또는 한자어와 순우리말이 어울린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의 보기) 귓병, 콧병,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깃줄, 주춧돌, 수돗물, 전셋집, 찻잔, 콧병,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곗돈, 장밋빛

 

㉡의 보기)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의 보기) 가욋일, 예삿일, 훗일

 

3. 그러나 한자어끼리 어울린 합성어에는 발음이 어떻게 되든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다만,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6개만은 예외로 사이시옷을 씁니다.
보기)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사이시옷은 이 세 가지 경우에만 쓸 수 있으니 생각보다는 간단해 보입니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다음 회를 봅시다.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80년 이후 현재까지 고등학교 국어교사로 재직 중이다. 1987년부터 1990년까지 <전교조신문(현 교육희망)>에서 기자로 활동했으며, 월간 <우리교육> 기자 및 출판부장(1990~1992), <교육희망> 교열부장(2001~2006) 등을 역임했다. 1989년 이후 민주언론운동협회가 주최하는 대학언론강좌를 비롯하여 전국 여러 대학 학보사와 교지편집위, 한겨레문화센터, 다수 신문사 등에서 대학생, 기자, 일반인을 대상으로 우리말과 글쓰기 강의를 해오고 있다. 또한 <교육희망>, <우리교육>, <독서평설>, <빨간펜> 등에 우리말 바로쓰기, 글쓰기(논술) 강좌 등을 기고 또는 연재 중이다.
ccamya@hanmail.net    [김효곤칼럼 더보기]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상하이에 살면서도 미처 몰랐던 것들Ⅱ hot 2016.04.28
    상하이는 매력적인 도시다. 상하이는 화려함 속에 동양의 신비를 품은 도시다. 그래서 더욱더 궁금해지고 알고싶은 도시다.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상하이의 시크..
  • 세계에서 집값 가장 비싼 곳 '베이징' 2016.04.25
    베이징의 집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외지 인구는 5년 연속 세금을 납부해야만 집을 구매할 자격이 주어진다. 따라서 베이징에 거주하는 많은 젊은이들과 외지인..
  • 中 상장사 초라한 성적표, 연이윤 1500만元 hot 2016.04.25
    중국의 상장회사 가운데서 연간 이윤이 1500만위안도 채 안되는 회사들이 수백개에 달해 ‘기업을 운영하느니 부동산투자를 하는게 낫다”는 말이 나올 정도이다.지난...
  • 경찰의 신속한 ‘1분’, 대형 싱크홀 참사 막아 hot 2016.04.25
    자칫 대형참사로 이어질 뻔한 도로 위‘대형 싱크홀’사건이 경찰의 신속한 대처로 단 한 명의 피해자도 발생하지 않았다. 지난 21일 오후 4시 경 항저우시(杭州市)..
  • [건강칼럼] 봄철 지켜야 할 생활습관 hot 2016.04.25
    봄이 되면 유달리 몸이 나른해지고 잠이오며 정신이 몽롱해진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소위 말하는 “춘곤증”이다. 춘곤증은 수면부족이나 병리현상이 아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8.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10.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