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사이시옷은 언제 쓰나? (3)

[2016-05-09, 18:12:16]

[우리말 이야기⑲]
사이시옷은 언제 쓰나?

 

(3) 쓰기도 하고 쓰지 않기도 하는 경우


1. 다음과 같은 것들은 두 가지 표기가 다 가능합니다. 다만 표기에 따라 뜻이 달라지지요. 이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면 다른 것들도 충분히 이해가 될 듯싶습니다. (‘보기 3’은 사이시옷을 쓰지는 않지만, 사잇소리 현상 유무에 따라 뜻이 달라지므로 이해를 돕기 위해 예로 들었습니다.) 

 

   보기 1) 나무집[나무집] : 나무로 지은 집
               나뭇집[나무찝] : 나무를 파는 집

   보기 2) 고기배[고기배] : 물고기의 배 부분
               고깃배[고기빼] : 물고기를 잡는 배. 어선.

   보기 3) 칼집[칼집] : 요리를 할 때 양념이 잘 배도록 칼로 살짝 엔 자국
               칼집[칼찝] : 칼날이 상하지 않도록 꽂아 보관하는 도구   

 

2. 갈비 요리를 파는 집은 ‘갈비집’인가, ‘갈빗집’인가 
이 경우 [갈비집], [갈비찝] 중 어느 발음이 옳은지 국립국어원에서도 쉽사리 결론을 내리지 못하는 모양입니다. 이미 ‘갈비집’으로 2003년 신어목록에 올라간 모양인데, 2007년에는 ‘갈빗집’으로 쓸 수도 있다고 답변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진작에 표제어가 된 ‘통닭집’, ‘횟집’ 등과는 달리 아직도 사전 등록이 미루어지고 있습니다.    

 

3. ‘빨랫줄’, ‘전깃줄’이 옳다면 ‘철사(鐵絲)+줄’은 '철사줄'인가, '철삿줄'인가
먼저 이 물음의 정답은 둘 다 아니고 '철사 줄'입니다. ‘철사(鐵絲)’에서 ‘사(絲)’ 자가 이미 ‘줄’을 뜻하기 때문에 그냥 ‘철사’만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도 뜻을 강조하기 위해 굳이 ‘줄’을 덧붙여 쓰고자 한다면, 발음은 비록 [철싸쭐]이 되더라도 두 개의 단어로 보아 띄어쓰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 국립국어원 쪽의 생각입니다.  

 

어떻습니까? 정말 머리가 어지럽죠? 

사이시옷 쓰기를 살피다 보면 이렇듯 몇 마디로 요약해서 정리하기가 곤란할 정도로 복잡하기만 합니다. 그만큼 우리말에서 가장 흔하고 오래된 논란거리이기에, ‘갈비집-갈빗집’처럼 아직까지 완전하게 정리되지 않은 부분도 남아 있는 겁니다.

너무 헷갈리는 얘기만 늘어놓은 것 같아 죄스러운 마음을 덜고자 사이시옷 쓰기를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서 끝내고자 합니다. 다음 문장 정도만 이해해도 사이시옷 쓰기를 웬만큼 해결할 수 있으실 겁니다. 
  
“사람들은 수돗가[수도까]에 가서 수도꼭지[수도꼭지]에서 나오는 수돗물[수돈물]을 마시고 수도세[수도쎄]를 낸다.”

  - 수돗가[수도까] ‘한자어+우리말’이면서 ‘가’가 된소리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쓴다.
  - 수도꼭지[수도꼭지] ‘꼭지’는 원래 된소리이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 수돗물[수돈물] ‘ㄴ’ 소리가 덧붙었으므로 사이시옷을 쓴다.
  - 수도세[수도쎄] 된소리로 소리 나지만 ‘수도(水道)’와 ‘세(稅)’는 둘 다 한자어이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상하이에 살면서도 미처 몰랐던 것들Ⅴ hot 2016.05.28
    [상하이통] 상하이는 매력적인 도시다. 상하이는 화려함 속에 동양의 신비를 품은 도시다. 그래서 더욱더 궁금해지고 알고싶은 도시다.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 상하이에 살면서도 미처 몰랐던 것들Ⅲ 2016.05.12
    상하이는 매력적인 도시다. 상하이는 화려함 속에 동양의 신비를 품은 도시다. 그래서 더욱더 궁금해지고 알고싶은 도시다.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상하이의 시크..
  • 중국의 판다 외교 ‘우호의 상징인가 부담인가’ hot 2016.05.09
    중국은 자국의 국보인 판다를 외교에 이용하는 기발하고도 특이한 외교전략을 펼치고 있다. 판다는 국제동물보호단체로부터 멸종위기 동물 1급으로 지정을 받아 현재 16..
  • 윤아르떼 1주년 기획전 <몽환의 숲> hot 2016.05.09
    윤아르떼는 개관 1주년 기획전으로 14일부터 6월 10일까지 한국 작가 설휘, 이현희의 2인전을 개최한다.  본 전시의 타이틀은
  • 中 미녀, '드릴로 옥수수 먹기' 흉내내다 '아뿔싸.. hot 2016.05.09
    한 미녀가 드릴로 옥수수 먹기에 도전하다가 앞머리가 한웅큼 빠져버리는 끔찍한 사고를 당했다고 평파이뉴스(澎湃新闻)가 전했다.이에 앞서 한 남성이 드릴에 옥수수를...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8.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10.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