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허스토 in 상하이] 냉면에 (과하게) 진심입니다

[2021-06-16, 11:57:08] 상하이저널
왜인지는 잘 모르겠다. 내 기억이 시작될 때부터 이미 나는 냉면을 좋아하는 아이였다. 가족들과 갈비를 먹는 특별한 기념일에도 마무리는 냉면으로 해야 개운하게 잘 먹은 느낌이었다. 식욕이 왕성했던 고등학생 때에는 고기는 고기대로, 냉면까지 두 그릇이나 먹었던 적도 있었다. 

20대 중반의 푹푹 찌던 어느 여름날 이후 나의 냉면 사랑은 좀 더 깊어지고 전문적이 되었다. 마포에서 내 인생의 냉면을 영접했던 것이다. 늑장 부리다가는 몇 시간 줄을 서야 할거라는 친구 말을 듣고 12시 전에 도착을 했는데도 허름한 식당 앞에는 이미 몇 십 미터 줄이 늘어서 있었다. 평양냉면으로 유명한 집이었다. 바삭한 녹두전부터가 예사롭지 않았다. 처음으로 먹어 본 평양냉면은 그동안 내가 알던 냉면과 달랐다. 면발의 식감도 다르고, 식초 빠진 육수도 뭔가 심심했지만, 묘하게도 먹으면 먹을수록 구수하고 감칠 맛이 났다. 그 후로 서울에서 유명하다는 을지로와 충무로 일대의 평양냉면 노포를 찾아 다녔다. 집집마다 맛은 조금씩 달랐지만, 평양냉면의 슴슴하고 밍숭밍숭함 끝에 ‘캬~’하는 육향의 깊은 맛은 중독성이 있었다. 다음 날 아침 어김없이 생각나는 맛이었다. 함흥냉면이 세련되게 치장한 말끔한 느낌이라면, 평양냉면은 꾸밈없이 투박해도 알고 보면 몇 대를 거슬러 내려온 한정판 명품 같은 느낌이다. 

여름과 겨울, 아이들 방학 때가 되어 한국에 갈 때마다 제일 먼저, 제일 많이 찾는 음식도 평양냉면이었다. 아이들은 그때마다 맛없는 냉면 먹으로 또 왔다고 투덜거렸다. 상해에는 다양한 한국 음식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곳이 많지만 평양냉면을 하는 곳은 없다. 북한 식당에서 평양냉면을 먹을 수 있다는 말은 마시길. 같은 평양냉면이라도 옥류관 식 평양냉면과 북한 실향민에 의해 서울에서 맥을 이어오고 있는 평양냉면은 분단의 역사만큼 그 맛도 달라졌다. (그래서 요즘은 서울식 평양냉면이라고 부르자는 의견도 있다.) 북한의 평양냉면에는 면발에 식초를 아낌없이 뿌리지만, 서울식 평양냉면에 식초는 화들짝 놀랄 정도의 금기이다. 

작년 여름에 이어 올 여름도 한국 방문이 어렵게 되니 나의 평양냉면 앓이가 더 심해졌다. 몇 곳의 한국식당에서 냉면을 먹은 후 그 실망감도 한 몫 했다. 결단을 내렸다. 내가 직접 만들어보겠노라는. 평소 요리 레시피는 귀찮아서 보지 않지만 냉면 육수를 위해서는 공부를 했다. 몇 가지 레시피를 찾아보니 공통점들을 발견했다. 소고기 사태와 양지머리로 기본육수를 내고 여기에 동치미 국물로 살짝 배합한다는 것이다. 그 과정이 생각만큼 어렵지는 않았다. 의외로 비슷한 맛을 낼 수 있어서 놀랍기까지 했다. 나만큼은 아니더라도 냉면 좋아하는 가족들에게 합격. 용기를 내어 친구들을 초대해 집냉면 시식회도 열었다. 레시피 보고 더듬더듬 맛을 낸 초보자의 냉면이 얼마나 맛이 있겠냐만, 조미료 육수 냉면에 과감히 등을 돌릴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올 여름 내 인생의 혁명이었다. 

냉면 육수를 내며 인간관계도 생각해본다. 달짝지근한 조미료 같은 얄팍한 관계도 있고, 밍숭한 듯 해도 뭉근하게 우러나는 진국 같은 관계도 있다. 평소에도 조미료에 과민반응이 있던 터라 평양냉면 한 그릇에 냉면으로서도 인간 관계로서도 가치와 의미를 담아본다. 선주후면(先酒後麵), 민짜, 거냉을 외치며 평양냉면 동호회라도 찾아봐야 할까 보다.

레몬버베나(littlepool@hanmail.net) 

<아줌마 이야기> 코너가 올해부터 <허스토리 in 상하이>로 바뀌었습니다. 다섯 명의 필진들이 상하이 살면서 느끼는 희로애락을 독자 여러분과 함께 나눕니다.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2025 청사의 해, 상하이 새해 맞..
  2. [상하이의 사랑법 20] 문장 안의..
  3. 상하이 새해맞이 행사, 지하철 연장..
  4. 中 내년 경제 전망…키워드는 ‘소비..
  5. [Jiahui 건강칼럼] 겨울에 흔한..
  6. [허스토리 in 상하이] 당신의 향기..
  7. 중국 클라이밍 산업, 중산층 인기 업..
  8. 크리스마스에도 참담한 中 극장가…전년..
  9. [박물관 리터러시 ⑤] 한 해의 끝자..
  10. 징동의 ‘통큰’ 연봉 인상…고객센터..

경제

  1. 中 내년 경제 전망…키워드는 ‘소비..
  2. 중국 클라이밍 산업, 중산층 인기 업..
  3. 크리스마스에도 참담한 中 극장가…전년..
  4. 징동의 ‘통큰’ 연봉 인상…고객센터..
  5. 中 3차산업 종사자 5년만 26% 증..
  6. 테슬라 상하이 에너지저장 슈퍼팩토리,..
  7. ‘라네즈’ 중국 매장 철수? 아모레퍼..
  8. 트럼프, 美 대법원에 틱톡 금지 명령..
  9. 中 탄력적 정년제 시행… 최대 3년..
  10. CATL, 홍콩 증시 상장 예정

사회

  1. 상하이 새해맞이 행사, 지하철 연장..
  2. 제주도 체류 중국 관광객 “배타고 중..
  3. 무인 택배 차량과 접촉사고, 사고 책..
  4. [신년사] ‘푸른 뱀의 해’ 새로운..
  5. [신년사] '을사년' 꿈꾸는 대로 이..
  6. 中 언론, 尹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7. 홍원숙 중의사, ‘하오 달인(好達人)..

문화

  1. [책읽는 상하이 264] 몸으로 읽는..
  2. [박물관 리터러시 ⑤] 한 해의 끝자..
  3. 북코리아 2025년 1월 추천 도서

오피니언

  1. [상하이의 사랑법 20] 문장 안의..
  2. [Jiahui 건강칼럼] 겨울에 흔한..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당신의 향기..
  4.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8] 아우디..
  5. [김쌤 교육칼럼]좋은 질문
  6. [허스토리 in 상하이] 이제 너의..
  7.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크리스..
  8. [무역협회] 글로벌 반도체 산업 회복..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