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코로나19 사태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장기적인 것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보복 소비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7일 재신망(财新网)은 징린보(荆林波) 중국사회과학원 평가연구원 원장의 말을 인용해 이 같이 전망했다고 전했다.
징린보 원장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의 상황으로 봤을 때, 보복성 소비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며 “서비스와 같은 일부 소비는 한번 사라지면 그대로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한달에 한번 이발 또는 뷰티 케어를 하는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봉쇄가 3개월간 지속 후 해제된다고 해도 그간의 손실이 보상될 수 없다는 논리다. 현재 봉쇄 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상하이의 경우, 현지 시민의 피로도와 심리적인 영향, 특히 소비 심리에 대한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코로나19가 소비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징 원장은 설명했다.
동차오(董超) 상무부 연구원 유통 및 소비 연구소 소장도 “코로나19가 없어진다고 소비가 회복될 것이라고 여겨서는 안 된다. 어떠한 소비는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사회소비재 총매출액은 전년 대비 12.5% 증가했으나 최근 2년 평균 성장률은 높지 않았다”며 “특히 올해 상황은 낙관적이지 않은 상황으로 지난달 소비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떨어졌고 1분기 성장률은 전년 대비 3.3%, 가격 요인을 제외한 실제 성장률은 1.3%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은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이 더 두드러진다. 동 소장은 “코로나19가 건설 노동자, 요식업, 소매업 종사자 등 저소득층에 미치는 소득과 소비 충격은 고소득층보다 더 크다”며 “저소득층의 소비 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에서 소득에 큰 영향이 가면 전국 전체 소비를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간 소비와 서비스 소비도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징린보 원장은 “최근 전국 40개 도시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봉쇄 통제를 하고 있어 인구, 물자 이동에 크게 제한을 받고 있다”며 “이에 따른 유통 원가 상승은 국내 지역간 소비에 큰 어려움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은행 1분기 저축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도시, 읍(城镇) 저축 인구의 저축 의향은 지난 4분기 연속 상승했고 주민 절반 이상은 저축과 소비 중 저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 소장은 “코로나19 감염세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미래 불확실성, 리스크 예방에 대한 대비책으로 소비로 돈을 꺼내는 대신 저축하기를 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제적으로 봤을 때, 중국과 미국의 상품 소비 시장 규모 격차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미국 항공편 수량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으나 현재 중국 국내 항공편은 운항이 대규모 중단됐다. 동 소장은 “만약 앞으로도 계속 지금과 같은 조치를 취한다면 2022년에는 양국의 소비 격차가 더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민희 기자